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工大 혁신, 이공계 푸대접부터 깨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정부가 공과대학 혁신에 나선다. 공대를 창조경제를 이끌어 갈 창의적 신기술과 핵심 인재의 공급원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오늘 정부ㆍ기업ㆍ대학 대표 21명이 참여하는 '공과대학 혁신위원회'를 출범시켰다. 혁신의 방향은 이론 위주의 연구를 산학연계, 기술이전 등 실질적으로 경제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실용적 연구로 변화시켜 나가는 것이다.


배경엔 대학이 이론 위주의 연구에 치중하는 탓에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을 제대로 키우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실제 산업계는 공대의 연구개발(R&D)투자 대비 사업화 실적 부족, 공대생의 현장 적응 능력 부족 등을 지적해 왔다.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을 하면 처음부터 다시 교육을 받아야 하는 게 현실이다. 시간과 비용의 낭비다.

물론 학문을 연구하는 대학이 산업계 수요에 맞춰 취업교육을 해야 하느냐는 반론이 있을 수 있다. 대학은 단순한 기술인력 배출 기관이 아니다. 그러나 공대의 경우 기초학문 연구 못지않게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실용성도 중요하다. 또 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정부의 혁신 방향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혁신이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정부는 2000년대 중반부터 '공과대학 혁신비전과 전략' 등 이공계 인재 우대와 실용성에 바탕을 둔 활성화 대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달라진 건 별로 없다. 우수 인재들이 의대와 로스쿨로 몰리고 산업계는 여전히 필요로 하는 인재가 모자란다고 울상이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가. 공대를 졸업한 기업인ㆍ교수ㆍ엔지니어의 모임인 공학한림원이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공대생이 가장 좋아하는 직업 1위는 의사 및 한의사(15.8%)였다. 정작 전공을 살려 과학자, 기술자가 되겠다는 학생은 3.1%에 불과했다. 이유는 '이공계 출신은 노력에 비해 사회적 대우가 좋지 않다'(51%)고 본 때문이다.


공대 혁신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려면 발상을 바꿔야 한다. 재정지원, 산학연계, 기술이전 등도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그에 앞서 우수한 이공계 출신 인재가 신바람 나게 자신의 전공을 살리면서 사회경제적 보상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이공계가 푸대접을 받는 현실에서는 산업발전도 창조경제도 꽃 피기 어렵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