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노미란 기자] "창업 아이템으로 소규모 투자를 받는 크라우드 펀딩 제도에 소득공제 비율을 최대 50%로 확대하는 등 자생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백운만 중소기업청 창업벤처국 국장은 21일 "세제지원 등 각종 혜택을 마련해 창업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 벤처기업의 자생력이 커질 수 있도록 돕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앱 벤처기업도 자금난에 허덕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창업 초기단계에서 사업이 안정기에 접어들 때까지 자금을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크라우드 펀딩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관련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크라우드펀딩 중개업무를 주관하는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를 신설하고, 올해 안으로 자본시장법 내에서 투자한도, 규제사항 등이 정해진다. 투자하기 편리해진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벤처창업의 인프라를 본받을 만한 나라로 이스라엘을 예로 든 그는 무한상상 국민창업 프로젝트를 활용할 것을 당부했다. 이스라엘은 현재 '보육 투자 시스템'을 도입해 보육기관이 창업가에게 투자한 만큼 지분을 확보하는 동시에 정부가 기술을 이전한 후 기술료를 받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그는 "무한상상 국민창업 프로젝트는 이스라엘처럼 국민이 낸 아이디어에 대한 사업화 검증이 마무리되면 시제품을 제작하거나 창업자를 연계하는 등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앱 생태계의 튼튼한 발전을 위해 앱 벤처기업의 재투자도 활발히 일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전자 상거래업체 '페이팔' 출신 기업이 만든 벤처네트워크 '페이팔 마피아'이다. 그는 "창업한 지 6년 만에 이베이에 약 2원에 매각된 페이팔 마피아는 매각 자금을 재창업 후배기업에 다시 투자했다"며 "이것이 유튜브, 링크트인의 탄생 배경"이라고 역설했다.
앱 생태계를 비롯한 창업기업에 '우수인력'이 차지하는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우수인력을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모색 중에 있다"며 "우수인력에 부여하는 스톡옵션제도에 대한 소득세를 3년간 분할 납부하는 것을 허용하고, 해외 우수인력을 유치하기 위한 창업비자(가칭) 제도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기업이 공격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재도전 기업인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도 약속했다. 그는 "재기기업인 자금 지원을 2017년까지 1000억원으로 확대하고 1000억원 규모의 재기지원 펀드를 운영할 계획"이라며 "빠른 신용회복을 위해 은행 등에 기록된 기간을 선별적으로 단축하는 제도도 추진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노미란 기자 asiar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