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내년 자동차·정유 맑음…전자·철강 ·조선 ·건설은 흐림(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내년 국내 기업들의 경기회복세는 업종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자동차와 석유화학 산업은 완만한 회복 국면에 접어들겠지만 전자 ·조선· 철강 건설사업 산업은 회복세를 기대하기에는 불투명할 것으로 예상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9일 오후 2시 여의도 한국거래소 국제회의장에서 ‘2014년 경제·산업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전자, 조선, 철강, 건설산업은 기대요인과 위협요인이 상존하면서 내년 경기전망이 불확실할 것으로 예상됐다.


전자 산업은 테블릿 PC의 급속한 보급 확산과 각국 정부의 에너지 효율화 정책으로 인한 LED 조명 수요가 증가하는 점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선진국의 스마트폰 보급률 한계치에 접그한면서 프리미엄 제품 수요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조선 산업은 호주, 러시아, 아프리카 지역의 가스 생산 계획 등으로 LNG선 발주가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해양 설비는 비용 상승으로 관련 수주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건설업계도 부동산 가격 상승이 예상되지만 중소 건설업체의 워크아웃, 대형건설업체의 주택·해외부분 리스크 정리 등 건설업 내 구조조정으로 인한 시장 불안정이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철강 산업은 경기회복으로 금, 구리 등 비철금속 가격은 안정세를 보이겠지만, 중국의 과도한 철강공급에 따른 국제 철강가격 상승 제한과 국내 SOC 예산 축소는 부정적 요인으로 지적됐다.


반면 자동차 산업은 선진국 경기가 살아나면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유로존 리스크 등으로 억눌렸던 잠재수요가 회복세를 보이고 브릭스(BRICs·브라질,러시아, 인도, 중국) 등 신흥시장에서도 자동차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고 내다봤다.


석유화학 산업은 미국의 셰일가스 기반 설비 증설이 화학제품 수급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곽진희 유진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미국·중국·유럽연합 등 주요 수요국의 전방산업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여 석유화학 업종의 전망이 긍정적이다”고 설명했다.


세계 경제가 내년 기점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불확실성 또한 높아겠다는 전망도 나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들이 리스크 관리에 힘써야 한다는 지적이다.


윤종원 IMF 이사는 세미나에서 "지금 세계경제는 성장, 물가, 금융시장 등 경제의 지형이 달라지는 전환점에 있으며 기존 위험이 지속되는 가운데 새로운 위험요인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선진국 통화정책의 정상화가 신흥국을 중심으로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에 면밀히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은보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한국경제는 주요 경제지표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가계부채 등 리스크요인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특히 "경기 둔화 영향으로 세입 여건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가운데 복지수요 등 지출증가로 인해 재정건전성 강화를 위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이에 따라 정부는 시장 모니터링 강화, 리스크요인에 대한 종합적 관리를 통해 재정건전성과 대외건전성을 양호하게 유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승미 기자 askm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