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말기 암환자 '웰다잉' 돕는 완화의료 병상 1400개로 확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보건복지부는 의미 없는 연명치료에 의존하는 말기 암환자들이 고통 없이 임종을 맞을 수 있도록 오는 2020년까지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병상을 1400여개로 확대겠다고 9일 밝혔다. 완화의료 이용률은 20%까지 올릴 계획이다.


복지부는 완화의료전문기관 외에 상급종합·종합병원의 호스피스완화의료팀(PCT), 가정호스피스완화의료를 도입, 이들을 연계한 의료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호스피스완화의료팀은 일반 의료기관에 있는 말기 암환자에게 완화의료전문기관을 소개하고, 치료·정신 상담 등을 맡는다. 이 팀은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로 구성된다. 환자 요구에 따라서는 성직자, 심리치료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정호스피스완화의료는 전담 간호사 등으로 꾸려진 가정 방문팀이 말기 암환자의 집을 방문해 탈수, 통증 등을 가정에서 관리하도록 돕는다. 말기 암환자가 퇴원 후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응급실을 전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또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등 지역 거점 공공의료기관과 종합병원 위주로 완화의료 병상을 약 1400개까지 확대하거나 새로 만들도록 지원한다. 내년 예산을 기준으로 하면, 지역 거점 공공의료기관이 완화의료전문기관을 신축하면 140억원, 증·개축하면 2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민간 의료기관의 경우 완화의료 병동을 운영하면 의료기관 인증 평가에서 가산점을 주기로 했다.


복지부는 이렇게 확보한 완화의료전문기관을 가정호스피스완화의료와 연계, 통증·증세가 급격히 악화된 말기 암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 중 완화의료팀, 가정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는 내년 '암관리법' 개정을 거쳐 시행하고, 그 외 주요 내용에 대해서는 필요한 절차를 거쳐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