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고령화·저출산 '직격탄'…경기도 1인가구·고령인구 급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수원=이영규 기자]경기도내 여성경제활동 인구와 1인 가구, 고령인구 비율이 10년새 2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출산ㆍ고령화 추세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일하는 여성을 위한 보육시설 등 제반여건을 확충하고, 1인 및 노인가구를 위한 다양한 주거형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아울러 이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 노후시가지 정비 사업 등을 확대하고, 특화도시 조성 등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개발연구원 이외희 선임연구위원은 24일 '경기도의 인구구조별 사회경제적 특성과 도시정책과제' 보고서에서 도내 인구구조 변화로 인해 여성 경제활동인구, 1인가구, 고령인구 등이 증가하고 있다며 경기도의 인구 및 주택, 일자리정책도 이를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여성의 학력이 과거에 비해 크게 높아지면서 여성 경제활동인구는 2000년 24.5%에서 2010년 45.4%로 증가했다. 2010년 기준 대학 이상 학력중 여성경제활동인구 구성비는 53.5%에 달했다.

미혼비율은 2000년 27.9%에서 2010년 30.5%로 상승했다. 특히 25~39세 구간은 2000년 21.7%에서 2010년 39.6%로 2배 가까이 높아졌다. 미혼, 이혼, 사별 비율이 높아지면서 1인 가구와 함께 독거노인도 점차 늘고 있다. 이러다보니 고령인구 증가로 활동제약을 겪는 고령자의 수도 많아지고 있다.


고령인구 특히 여성 고령인구는 경제적으로도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2010년 기준 60~64세 여성의 생활비 자가부담 비율은 49.5%로 남성의 64.9%보다 훨씬 낮았다.


경제적 특성으로는 여성 및 고령자의 통근 비율이 늘었다. 특히 2010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의 30분 이내 통근 비율은 66.5%로 전연령의 46.8%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혼여성의 30분 이내 통근비율이 57.5%인데 비해 미혼은 42.4%로 차이가 났다.


산업적 측면에서는 제조업 종사 비율이 감소한 반면 서비스업 특히 복지 관련 업종의 종사 비율이 증가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여성경제활동인구를 위해 일ㆍ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보육지원제도 강화와 공공보육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도시정책적 차원에서 1인가구 및 독거노인 등을 위한 다양한 주거유형 도입과 안전한 도시환경 구축, 무장애 도시 조성과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노후 복지제도 및 주택바우처 등 노인주거복지 및 의료시설 확충 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아울러 "도시개발 및 정비에 있어 도시시설을 집약하는 등 효율성을 높이고, 기성 노후시가지와 도심지역 정비를 통해 노인ㆍ여성인구를 위한 주거 공급, 일자리 제공 등 장기적으로 직주근접도시 실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경기도의 경우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특성에 따라 시군별로 저출산ㆍ고령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고 산업적 특성에도 차이가 있는 만큼, 지역별 인구와 산업특성에 맞는 특화도시나 특화마을 조성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