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日 오이 원자로 가동중단으로 1년2개월만에 원전제로 상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아시아경제 박희준 기자]일본 국내 원전 중 유일하게 가동해온 후쿠이현의 오이 원전 4호기가 15일 정기 안전검사로 운행을 정지하면서 일본이 2012년 7월 이후 1년 2개월 만에 다시 ‘원전 가동 제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현 정부와 발전소, 전력회사, 사용자들 간에는 언제까지 운전정지가 계속되고 전기요금이 얼마나 오를지를 놓고 현지에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일본 매체인 재팬타임스는 간사이전력(KEPCO)의 오이 원전 4호기가 이달 2일 3호기 정지에 이어 이날 밤 운전을 정지한다면 1년 2개월 사이에 처음으로 원전 가동이 없어진다고 보도했다.


일본 원전은 영업운전 개시 이후 13개월 내 정기검사를 받는 것이 의무화돼 있다.

재팬타임스는 원전 점검은 통상 4~6주가 덜린다면서 오이 원자로는 7월 발효된 새로운 안전 기준을 통과해야만 한다고 전해 시간이 더 걸릴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일본은 지난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에 따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방사능 유출 사태 이후 지난해 5월 국내 원자로 50기 전부를 검사와 안전 문제 등의 이유로 가동을 중단했다.


원전 의존도가 높은 KEPCO는 관내 지역의 정전을 막기 위해 지난해 8월부터 오이 원전 3호기와 4호기를 재가동했다. 그러나 오이 원전 3호기도 지난 2일부터 정기점검으로 가동을 중단했다.


KEPCO는 연말께 오이 발전소가 재가동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NRA)는 발전소 지하에 있는 단층의 활성여부를 확실히 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어 시기를 장담하기 어렵다.



일본 발전소들은 오이 원자로를 비롯해 12개 원자로의 가동을 허가해줄 것을 NRA에 요청해놓았다.



후쿠이현 원자로 가동은 지역 경제와 일자리와 직결돼 있다. 현내 8200개 기업 가운데 약 1600개가 건설회사와 호텔,식당 등인데 매출의 일부를 13개 상업용 원자력 발전소에 의존하고 있다.


일본 전국에서는 약 4만6000명이 원자력발전과 관련해 풀타임 직원으로 일하고 있다. 발전소 7000명과 관련 설비제조업체 등에 1만1000명이 종사하고 있다.



원전 재가동이 지연될 경우 전기요금 상승 가능성도 있다. 재팬타임스는 도쿄전력이 겨울철 요금인상과 추가절전 조치가 필요하다고 경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원자로 가동 중단으로 화력발전을 위한 석유 등 화석연료 수입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화석연료 수입금액은 2010년에서 2012년 사이에 약 3조2000억엔정도 증가했다. 2013 회계연도 화석연료 수입금액은 원자력발전소가 가동될 때보다 3조8000억엔이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본은 쓰나미 발생이전 전체 전력의 약 32%를 원자력 발전에 의존했다. 쓰나미 이후 액화천연가스(LNG)는 2012 회계연도에 47%를 공급, 2010년에 비해 무려 14%포인트 증가했다. 석유는 19%를 공급해 2010년에 비해 15%포인트 늘어났다.
KEPCO의 경우 쓰나미 이전 전력의 약 절반을 원자력발전에 의존했지만 지난해에는 오이 발전소만 가동한 탓에 원자력 발전 비중은 2%로 하락했다.






박희준 기자 jacklon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