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회원사는 불황에 시달리는데"…금투협 임원 고액연봉 논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아시아경제 진희정 기자]금융투자협회 고위 간부들이 증시 불황에도 불구하고 전년보다 높은 수준의 연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정무위원회 김정훈 새누리당 의원(정무위원장)이 금융위원회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금융투자협회장의 올해 연봉은 5억3240만원에 달했다.

성과급 2억5000여만원이 포함된 금액으로 기본급(2억8170만원)도 소폭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근부회장과 자율규제위원장의 연봉도 성과급을 포함해 각 3억632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전임 회장에 대해서도 매월 500만원의 급여가 지급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퇴직 후 1년간 고문으로 위촉하도록 돼 있는 전임 회장에게도 월 500만원의 급여와 차량유지비 등이 지원됐다.


이런 가운데 금투협 간부 상당수가 관료 출신으로 채워져 낙하산 인사 논란이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금투협은 과장급 이상 임직원 가운데 7명이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출신으로 채워졌다.


김 의원은 "민간의 자율성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금투협 임원으로 관료 출신이 계속 선임되는 것은 창조경제 달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불합리한 퇴직 관료의 낙하산 인사 관행과 실태에 대해 지속적으로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금투협 관계자는 "협회는 고객으로부터 신뢰받는 열린 서비스 조직이기에 역량 중심으로 인사가 이뤄지고 있다"며 "회장 퇴직 이후 고문에 대해서도 업계 차원의 예우가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투협은 2009년 2월 증권업협회, 자산운용협회, 선물협회가 합병해 출범한 기관으로 회원사로 정회원 165개, 준회원 117개를 두고 있다.



진희정 기자 hj_j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