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접속' 하늘에 별따기 공공 와이파이, 먹통에 분통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사용자 쏠림현상·주파수 간섭·사각지대 고려없이 설계
지난달 3020곳으로 늘렸지만 접속 끊기는 곳 수두룩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정부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공공 와이파이존을 올해 전국 3000여개로 늘렸지만 낮은 품질로 인한 이용자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고 있다.

13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해 이통3사의 와이파이 2000개소를 통신사 상관없이 누구나 무료로 쓸 수 있도록 개방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공공 와이파이 확산 계획안'에 따라 총 3020개소로 확대했다. 그러나 사용자 쏠림현상, 주파수 간섭, 사각지대 등에 대한 고려 없이 그저 실적쌓기식 확대로 공공 와이파이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미래부에 접수된 민원사례를 보면, 와이파이 신호의 세기가 약해 접속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가장 많다. 공공 와이파이존으로 지정된 구역이지만 특정 장소에 설치된 무선 접속기(AP)와 멀어지면 사실상 이용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본지가 공공 와이파이존으로 지정된 경기도의 한 도서관을 방문해 확인해본 결과, 도서관 로비에 설치된 AP 주변에서는 와이파이 신호가 강하게 잡혔지만 층계를 통해 이동하거나 종합정보자료실 등 도서관내 별도의 공간으로 들어가자 접속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했다.

'접속' 하늘에 별따기 공공 와이파이, 먹통에 분통
AD


서울 서초구 고속버스터미널도 공공 와이파이 지역이지만 스마트폰 창에 '연결이 좋지 않아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구가 뜨고, 상대적으로 신호가 강한 이통사 전용 와이파이로 전환되곤 했다. 면적이 넓고 이용자가 많은 탓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AP 한 개당 반경 20~30m까지만 와이파이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해당 장소 전체를 커버하긴 힘들다"면서 "기존에 운영되던 AP를 그대로 공공 와이파이로 전환하기 보단 이용자 수, 수용용량, 사각지대 등을 고려해 재설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공 와이파이는 주민센터, 우체국, 도서관 등 시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구축됐다.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 이동성을 지닌 IT기기를 통해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만큼 이용자들이 건물 안 어디에서나 원활하게 쓰지 못한다면 불편함을 느끼고 만족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공공 와이파이 구축시 지역적 안배를 고려해 형평성을 기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서울시 안에서도 인구 밀집도가 높은 중구의 경우 5곳, 동대문구는 3곳만이 공공 와이파이존으로 구축돼 있어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미흡한 편이었다. 이에 미래부는 지방자치단체, 통신사와 협의해 인터넷 회선 구축 여부와 예산, 지역적 형평성 등을 고려한 후 선정한다는 입장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연말까지 정부와 이통사가 매칭펀드 방식으로 1000여개의 공공 와이파이를 추가 구축할 방침"이라며 "이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통3사를 상대로 와이파이 유지보수, 사후관리 등의 조치를 지속적으로 독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