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출연연서 기술 이전받은 中企, 반도체 공정 SW국산화 성공"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국가핵융합연구소(소장 권면)로부터 플라즈마 기술을 이전받은 국내 중소기업 경원테크(대표 서광원)가 반도체 핵심 제조공정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국산화에 성공해 삼성전자에 공급한다.


13일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에 따르면 경원테크는 핵융합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북대학교, 부산대학교 등과 협력 연구를 통해 케이스피드(K-Speed) 개발에 성공했으며, 최근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와 성능평가를 완료하고 소프트웨어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케이스피드는 반도체 공정 중 식각 및 증착 공정을 시뮬레이션해 공정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다.

케이스피드는 그래픽처리방식(GPU) 컴퓨팅 기반의 병렬화 성공을 통해 기존의 단일 CPU 기반 제품대비 100배 이상 계산시간을 단축했다. 또한 기존 제품이 실제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복합가스가 아닌 단일가스만을 이용한 플라즈마를 해석하는데 반해 케이스피드는 실제 공정에 사용되는 복합가스의 반응을 정확하게 연산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래부 관계자는 "케이스피드를 통해 빠르고 정확한 반도체 제조 공정개발과 반도체 구조개발 등의 신기술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반도체 산업 소프트웨어 국산화를 통해 기반기술 확보하고 국내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케이스피드 개발 성공은 정부 출연연의 기초연구과정에서 얻은 파생기술과 학계의 기초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기술 지원 노력을 통해 산업화에 성공한 산학연 협력의 성과"라고 덧붙였다.


케이스피드는 향후 다수의 국내외 기업으로의 판매가 예상되며, 경원테크는 케이스피드 판매로 2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광원 경원테크 대표는 "출연연과 지속적인 연구협력으로 국내외 반도체 공정해석 소프트웨어 시장에 진출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반도체 공정에 사용하는 다양한 시뮬레이터 기술을 핵융합연에서 이전받아 반도체 공정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국산화 기술 확보 및 세계 시장 진출 등에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