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해외 유입 치쿤구니야열 환자 국내 첫 확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3초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질병관리본부는 5일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는 '치쿤구니야열'(Chikungunya fever) 환자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지난 2010년 12월 치쿤구니야열이 제4군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이래 국내에서 확인된 첫 사례다.

질병관리본부의 역학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환자(23·남)는 지난 6월 18~25일 치쿤구니야열 유행 지역인 필리핀 마닐라를 방문하던 중 현지에서 모기에 물렸다. 귀국 후인 30일 발열과 등부위 등통, 발진을 보여 전북의 한 병원에 입원했으며 치료로 받고 건강을 회복해 지난달 9일 퇴원했다.


보건당국은 국립보건연구원 신경계바이러스과에서 수행한 실험실 검사 결과와 전북도의 역학조사를 토대로 치쿤구니야열 감염으로 최종 확인했다.

치쿤구니야열은 치쿤구니야 바이러스(chikungunya virus) 바이러스에 감염된 매개 모기(열대숲모기, 흰줄숲모기)에 물려 걸리는 급성 열성 질환이다. 국내에는 치쿤구니야열을 옮길 수 있는 흰줄숲모기가 존재하지만 지금까지 국내에서 감염된 환자가 보고된 적은 없다.


감염되면 주로 급성 발열과 두통, 근육통, 발진, 관절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잠복기는 1~12일이다. 치쿤구니야열은 예방 백신이나 특별한 치료제가 없다. 하지만 대증치료로 대부분 회복되며 사망률은 극히 낮다.


질병관리본부는 "해외 유행지역을 여행할 때 최대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혜정 기자 park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