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정민 기자]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우리 정부의 회담 제의에 북한이 반응을 보이지 않자 개성공단 입주기업인들은 공단 폐쇄를 우려하고 있다.
3일 중소기업계에 따르면 우리 정부는 사실상 공단 폐쇄 수순 돌입,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이 신청한 경협 보험금 지급이 가시화하면서 개성공단이 사실상 폐쇄 수순에 돌입한 양상이다.
이렇게 되자 개성공단 입주기업인들이 공단 정상화를 위해 정부에 촉구하는 목소리는 강력해진 상황이다.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달 30일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우리 기업들의 확고부동한 요구는 개성공단의 조기 정상화”라며 “남북 양측은 지금이라도 실무회담을 재개해 개성공단 정상화에 합의를 해주기 바란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비대위는 성명에서 “북측 당국은 정치적 언동과 군사적 위협 등 유사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가동중단 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는 입장을 확실하게 철회해야 한다”면서 “우리 정부도 북한에게 일방적 가동중단 책임과 재발방지 보장을 요구하기보다는 남북한이 함께 재발방지를 보장하는 합의를 대승적 차원에서 해달라”고 밝혔다.
이들은 “우리의 간절한 요청에도 개성공단이 완전폐쇄돼 수많은 기업이 도산하고 수만명 근로자들이 실직되면서 벼랑끝 생존 위기에 내몰린 결과에 대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더이상은 기다리기 힘들다는 것.
그러나 정부는 단호한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지난달 28일 북측에 회담을 제안하는 긴급 성명을 발표하며 "재발방지에 대한 북측의 명확한 입장과 태도변화가 없으면 입주기업의 피해를 고려해 '중대한 결심'을 내릴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내주까지 북한이 대화에 응하지 않을 경우 우리 정부로서는 ‘중대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당장 우리 정부는 우리측 인력 철수 후 공단이 정상적으로 가동될 때 보내던 하루 10만㎾의 전력을 3000㎾가량으로 줄인 상태다. 단전이 가속화 될 경우 개성시에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월고저수지의 정수 및 배수 시설의 가동도 사실상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개성공단에 대한 '폐쇄' 수순의 중대 조치가 단행될 경우 8월 중순으로 예정된 한미연합군사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훈련과 겹치면서 북한과의 관계가 최악으로 달릴 수 밖에 없다.
입주기업 한 관계자는 "남북 양측이 개성공단의 진정한 정상화를 위한다면 우선 설비 점검 및 유지 보수를 위한 관리인원 방북을 허락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정민 기자 ljm101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