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최종본' 만든 조명균 행방묘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회의록 미스터리' 열쇠쥔 입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여야가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국가기록원에 찾지 못하면서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의 입에 정가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 전 비서관이야말로 '사초 실종 미스테리'의 키를 쥔 인물이기 때문이다.


'최종본' 만든 조명균 행방묘연
AD

조 전 비서관은 참여정부 남북관계의 핵심브레인으로, 2007년 10월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간 회담에 배석해 대화를 녹취했다. 국가정보원이 녹음 파일 푼 녹취록 초안을 바탕으로 최종본을 제작한 실무자도 조 전 비서관이다.

조 전 비서관은 특히 "노 전 대통령이 '정상회담 대화록을 국정원에서 관리하고 청와대에 두지말라'고 지시했다"는 취지로 올 초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더욱 논란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조 전 비서관은 "노 전 대통령이 회의록 자체를 완전히 폐기하려던 게 아니라 국정원에 한 부가 보관됐다는 걸 감안에서 이지원에서 삭제를 지시했다"는 취지의 설명을 한 것을 전해졌다.


이에 대해 참여정부에서 민정수석을 지낸 전해철 민주당 의원은 23일 MBC 라디오에 나와 "조 전 비서관의 진술을 확인해야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의문을 제기했다. 전 의원은 "조 전 비서관이 이지원에 보고를 했고, 대통령의 지시로 국정원 한 부를 국정원에 한 부를 보관하게 했다"면서 "굳이 국정원에 한 부가 있는데 청와대에서 폐기할 이유가 없다"고 반박했다. 대통령기록물관리법까지 만든 노 전 대통령이 대화록 삭제를 지시한 것이 논리적으로 모순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조 전 비서관의 행방은 묘연하다. 한 참여정부 관계자는 "조 전 비서관이 신학에 빠졌다는 이야기를 들은 지난 대선 이후 연락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해외에 나갔다는 이야기도 있다"고 말했다. 당 안팎에서 답답하다는 목소리마저 터져나오고 있다. 한 의원은 "다른 비서진들은 다 나와서 발언을 하는데 (조 전 비서관만) 연락이 되지 않는다"면서 "조 전 비서관이 발언을 했는지도 안 했는지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김승미 기자 askm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