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 오피스 공실↑…강남 이탈·금융사 폐쇄 영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서울 오피스 공실↑…강남 이탈·금융사 폐쇄 영향 여의도 전경
AD


[아시아경제 박미주 기자]서울 주요지역의 프라임 오피스 빌딩 공실률이 높아지고 있다. 강남권에서는 기업이 이탈하고 여의도에서는 금융사 지점들이 폐쇄하는 등의 영향이다. 프라임 오피스 빌딩은 연면적 3만㎡ 이상의 빌딩 중 접근성과 시설·관리상태 등이 우수한 빌딩을 지칭한다.

19일 글로벌 종합 부동산 컨설팅업체 세빌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서울 프라임 오피스 빌딩 공실률은 10.7%로 전분기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권역별로는 중심권역(CBD)이 15.6%로 전분기보다 0.4%포인트, 강남권역(GBD)은 4.2%로 전분기보다 1.7%포인트, 여의도권역(YBD)은 10.3%로 전분기보다 0.9%포인트 올랐다.


홍지은 세빌스코리아 리서치&컨설팅 본부 상무는 "기업들의 증평과 신규 오피스 개설로 서울 중심권역의 수요가 증가했지만 N타워 준공으로 공실률이 높아졌다"며 "강남권은 오피스 빌딩 임차인들의 외부권역으로의 이전, 여의도권역은 일부 금융사들의 지점 폐쇄와 감평 등으로 공실률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여의도권역은 오는 3분기에도 공실률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홍지은 상무는 "여의도에 FKI타워가 준공되면서 공급이 늘어 공실률이 높아질 것"이라며 "중심권역에는 센터포인트가 공급될 예정이지만 100% 사전 임대돼 공실률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서울 오피스 공실↑…강남 이탈·금융사 폐쇄 영향


공실률이 늘었지만 오피스 월 임대료는 인상됐다. 3.3㎡당 프라임 오피스 평균 월 임대료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오른 16만3600원으로 조사됐다. 권역별로는 추이가 조금씩 다르다. 조사대상인 92개 프라임 오피스 빌딩 중 중심권역과 강남권역의 6개 빌딩 평균 임대료가 2~4%가량 올랐다. 반면 여의도 권역 Two IFC는 임대료를 10%가량 인하했다.


프라임 오피스 수익률은 5% 초반으로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중·소형 오피스 빌딩 수익률은 6%~8%대로 추정됐다.


2분기 오피스 거래규모는 늘었다. 기업들이 유동성 확보를 위해 대형 빌딩들을 매각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트윈트리타워, 삼성생명대치2빌딩, 강남피타워 등 총 9개 빌딩이 거래된 것으로 조사됐다. 거래금액은 약 1조49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5900억원가량 상승했다. 특히 대우건설신문로사옥, 신도림 디큐브시티 오피스동, 논현동 두산빌딩 등은 세일앤리스백(Sale & Leaseback) 형태로 매매돼 기업들의 유동성 확보를 위한 움직임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지은 상무는 "3분기 거래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한 약 1조 5000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공실률 리스크에도 기업들의 자산유동화 전략과 프라임 오피스 빌딩의 안정적인 수익률로 인해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고 이런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미주 기자 beyon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