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희사이버대, 온라인 대학 최초 '한국학 보급 사업 대학' 선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아시아경제 김지은 기자]경희사이버대학교가 2013년 ‘KF 한국학 온라인강의’ 사업 시행기관으로 지난 8일 선정됐다. 해외 한국 관련 교육 확대를 위해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이 시행하는 이 사업에 올해는 경희사이버대와 함께 서강대, 인하대도 선정됐다.


‘KF 한국학 온라인강의’ 사업은 올해부터 새롭게 추진된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이 IT 발전 및 해외 한국학 수요 증가에 따라 2011년부터 추진해 온 화상 강의 중심의 ‘KF Global e-School’ 사업의 성과를 극대화하고, 국가 간 시차 및 학사 일정 등에 따른 일부 문제점을 개선해 강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다.

사이버대학으로는 처음으로 이 사업에 선정된 경희사이버대는 사업 1차년도에 7개 강좌의 총 38개 강의를 입문 영역과 심화 영역으로 나눠 제작할 예정이다. 입문 영역은 ‘한국 개황’, ‘대중문화와 한류’, ‘한국 역사’, ‘한국의 음식문화’, ‘한국의 주거문화’, ‘한국의 복식문화’ 등 6개 강좌이며, 심화 영역 강좌는 한국경제원론 1개 강좌이다. 한국어를 기본으로 제작된 강의는 해당 지역의 언어로도 지원되며, 현재 싱가포르 싱가포르국립대, 태국 나레수완대학교, 체코 찰스대학교, 멕시코 나야리트자치대학교에서 강의가 활용될 예정이다.


경희사이버대가 이번 사업 시행기관으로 선정된 배경에는 차별화된 한국학 강의 콘텐츠 제작, 접근 방식 다양화 등이 주효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사이버대 최대 규모의 스튜디오와 100% 자체 제작 시스템을 적극 활용해 전 강좌를 신규 제작하는 것은 물론, 콘텐츠 다운로드, 스트리밍, 로컬서버 탑재, 모바일 러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근성을 확보함으로써 오프라인 대학과의 차별성을 강조할 계획이다.

경희사이버대는 지금까지 사이버대학 최초로 한국어문화학과를 개설, 유일하게 한국학 관련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등 국내외를 아우르는 한국어 및 한국문화 관련 교육 활동을 활발히 펼쳐왔다. 2005년에는 로컬 서버 전용의 ‘사이버한국어과정’을 자체 제작해 베트남, 몽골, 필리핀 등 자매대학에서 활용하도록 지원했다. 이 프로그램은 2008년 교육부의 최우수 원격대학 선정된 뒤 다국어 버전의 온라인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 프로그램 “Learning Korean”으로 구축돼 2012년부터 일반인에게도 공개됐다.


2011년에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지원을 받아 영어, 미얀마어, 캄보디아어, 베트남어, 라오스어, 태국어 등 6개 언어 버전의 한국문화 콘텐츠 “Dynamic Korean, Exciting Hallyu”를 제작해 보급하기도 했다.


경희사이버대학교 김지형 교수(글로벌한국학사업추진단장ㆍ한국어문화학과 교수)는 “경희대와 경희사이버대는 한국학 교육 과정을 통해 전문 인재를 양성하여 전 세계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확대에 이바지해왔다”며 “금번 KF 한국학 온라인강의 사업 선정은 그 역량을 확인한 계기로,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분야의 선도적인 역할을 이어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지은 기자 muse86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