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대·기아차, 상반기 美 판매 '제자리'.. 6월 점유율 0.8%p↓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상반기 총 63만8361대 판매..미국·일본 '빅3' 약진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현대차와 기아차가 상반기 미국시장서 사실상 ‘제로성장’을 기록했다. 이들 두 브랜드의 지난 6월 시장점유율도 미국과 일본 브랜드의 약진에 따라 9%에서 8.2%로 0.8%포인트 내려앉았다.


3일 오토모티브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올들어 현대차와 기아차의 상반기 합산 성적은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한 63만8361대를 기록했다. 현대차의 판매대수는 36만1010대로 1% 증가한 반면 기아차의 판매대수는 27만7451대로 -4% 감소한 탓이다.

두 브랜드의 지난 6월 판매대수는 11만5543대로 전년동기대비 0.4% 증가하는데 그쳤다. 현대차의 판매대수는 6만7대로 1.9% 증가했지만 기아차의 판매대수는 -1.5% 감소한 5만536대를 기록했다.


모델별로는 현대차 엘란트라가 지난 6월 전년 동기대비 25% 이상 늘어난 2만2163대, 쏘나타는 1만9454대, 신형 싼타페는 7656대를 기록했다. 기아차의 간판모델 옵티마는 1만4599대로 전년 대비 9%, 신형 카덴자는 출시 첫 달 1만1000대 판매됐다. 주력모델의 판매대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공장 특근거부 여파로 전반적인 성장세는 둔화됐다.

점유율도 8.2%를 기록해 0.8%포인트 감소했다. 현대차의 시장점유율은 5%에서 4.6%로, 기아차는 4%에서 3.6%로 각각 0.4%포인트 줄었다. 포드, 크라이슬러, 제너럴모터스(GM) 등 미국 빅3 브랜드의 선전과 도요타, 닛산, 혼다의 약진이 현대차와 기아차의 점유율을 끌어 내린 것으로 보인다.


미국 빅3 브랜드의 판매대수는 상반기 8~13% 증가했다. 포드가 128만9736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대비 13% 성장했고 GM, 크라이슬러의 판매대수가 각각 8%, 9% 늘었다. 도요타, 닛산, 혼다 등 일본차 빅3의 판매대수도 6~8% 증가했다. 이들 3개 브랜드는 지난 6월 일제히 두자릿수대 성장폭을 달성했다.


독일 프리미엄차 브랜드의 약진도 돋보였다. BMW가 지난 6월에만 전년 동기대비 25% 성장해 올해 상반기에만 14만431대를 팔았고, 벤츠 역시 상반기 15만대 이상을 팔아 전년 대비 10% 성장했다. 아우디는 올해 상반기 14% 증가한 7만4277대를 판매했다.


서성문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현대차와 기아차의 미국판매는 산업평균 증가율을 9개월 연속 하회했다”며 “K3, K7 등의 출시와 6월 중순에 모든 국내공장에서 재개된 주말특근으로 공급부족이 차츰 완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철영 기자 cyl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