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정화 중기청장, '엔젤투자자' 다시 만난 이유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지난 15일 발표한 '벤처·창업 자금 생태계 선순환 방안'에 대해 벤처·창업기업, 벤처캐피탈엔젤투자자 등 정책 수요자의 의견 수렴과 정책건의 청취 등을 위해 지난 24일 간담회를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중기청장 주재로 열린 이번 간담회에는 벤처기업협회장, 한국엔젤투자 협회장을 비롯한 선도벤처 CEO, 벤처캐피탈, 엔젤투자자, 청년창업자 등 정책수요자 11명이 참석했다.

선도벤처 CEO로 이날 자리에 참석한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대표는 "창조경제는 스스로 성공하기보다 성공시켜 주는 것이 더 쉽다"며 "한시적으로라도 국가위원회를 만들어 창조제품의 시장활성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창조경제는 상상과 지식의 융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만큼 상상과 지식을 결합시키는 획기적인 스톡옵션 제도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해 중기청이 '사회적 기업 포인트제'를 도입, 포인트 적립에 따라 병역혜택·세제혜택을 늘려주는 방안도 제안했다.

엔젤투자자들의 경우 좀 더 파격적인 세제 혜택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영하 엔젤투자협회장은 "이번 대책은 초기 벤처 투자자에 대한 소득세를 50% 감면해주기로 했지만 다소 실망스러운 수준"이라며 "5년 정도 한시적으로 기간을 정하더라도 100% 감면을 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엔젤투자자는 500명이며, 투자액 역시 전체 벤처투자(1조2000억원)중 300억원에 불과하다. 투자자를 1만명으로, 투자액을 5000억원까지 늘리기 위해서는 획기적인 세제 혜택이 필요하다는 게 고 회장의 주장이다.


또 감면 혜택을 소급해달라는 요구도 덧붙였다. 그는 "벤처기업 인증이 안 된 회사에는 투자를 해도 소득세감면이 안 되고 있어 5월 소득세 신고를 앞두고 엔젤들의 불만사항이 접수되고 있다"며 "초기 기업에 투자한 이후에 벤처 인증을 받게 될 경우엔 소급적용을 해 달라"고 말했다.


벤처 생태계 활성화 정책에 대기업이 빠져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태국 오라콤 대표는 "창업 후 4년이 지나 자본이 부족했는데, LG전자의 투자그룹에서 20억원을 투자받아 기업을 키울 수 있게 됐다"며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잘 이끌어 주고, 그 중소기업들이 창업기업을 이끌어주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벤처기업협회가 대책에 대한 주요 정책수혜자 집단별 효과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새 정책에 대한 벤처 업계의 기대와 평가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책이 창조경제형 벤처생태계 구축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한 비율이 88.5%에 달했으며, 특히 투자 회수금 재투자에 대한 세제 등 인센티브 부여와 기술혁신형 M&A 세제지원, 코넥스 신설 등을 통한 회수시장 활성화에 고무된 벤처캐피탈(94.4%)과 벤처1세대 선도벤처(91.0%)의 기대가 높았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