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故 남덕우 전 총리 빈소, 김용환·백선엽·송자·한덕수 등 조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故 남덕우 전 총리 빈소, 김용환·백선엽·송자·한덕수 등 조문
AD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故(고) 남덕우 전 국무총리의 빈소가 차려진 서울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에는 19일에 이어 20일에도 고인을 추모하는 이들의 조문행렬이 이어졌다.

고인의 후임으로 재무부 장관을 지낸 김용환 새누리당 상임고문을 비롯해 백선엽 예비역 육군대장, 송자 전 연세대 총장 등은 이날 오전 9~10시 사이 빈소를 찾아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이홍구 전 국무총리와 공동 장례위원장을 맡은 한덕수 무역협회회장은 전날 오전 빈소를 찾아 오랫동안 머물며 전직 관료, 원로학자 등과 함께 고인과의 추억을 나눴다. 한덕수 회장은 "고인은 오일쇼크와 만성적 인플레이션 등 한국 경제에서 가장 어렵던 시기를 극복한 경제 발전 모델의 입안자였다"고 회고했다.

남 전 총리와 동 시대를 함께 했던 이용만 전 재무장관은 "경제개발 정책을 펼 때 일주일에 서너 번씩 밤을 새우고 일을 하신 분"이라며 "우리 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시의적절하게 말씀해주던 우리 사회의 훌륭한 지도자, 거목을 잃어 안타깝다"고 전했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빈소를 찾아 고인을 추모했다. 현 부총리는 "1976년 제4차 경제사회개발 5개년계획이 가장 인상 깊다"며 "고인은 4차 때부터 경제개발계획에 '사회'를 집어넣으며 경제개발뿐 아니라 사회개혁을 포함시킨 혜안이 있었다"고 말했다.


정치인들도 빈소를 찾았다. 이한구 새누리당 의원은 고인을 합리적으로 정책을 만들고 강단있게 정책을 이끌고 간 인물로 기억했다. 그는 "권력 중심으로 구성돼있는 정부조직에서 순수하게 학자스타일로 일을 하면서 고집이 세서 한번 마음잡은 일은 기어코 해내고야 말았다"고 전했다.


이 밖에 김중수 한은총재, 홍기택 산은금융지주 회장, 이홍구 전 총리, 손병두 전 서강대 총장 등이 빈소를 찾아 조의를 표했다. 빈소에는 박근혜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 정홍원 국무총리 등이 보낸 조화가 빼곡히 놓여있었다.




김혜민 기자 hmee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