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권은희 "ICT기술거래 활성화·사업화지원 종합기관 설립하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가칭 '한국정보통신기술거래진흥원'… 5년간 고용 3만명 이상 창출

권은희 "ICT기술거래 활성화·사업화지원 종합기관 설립하자" ▲권은희 의원 (새누리당, 대구북구갑)
AD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권은희 새누리당 의원은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기술거래 활성화와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지원을 위한 가칭 '한국정보통신기술거래진흥원'의 설립을 제안한다고 3일 밝혔다.


권 의원은 "연구개발(R&D) 결과물· 특허 등 지식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연구개발 성과가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는 종합적 지원체계에 대한 요구가 높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ICT와 타 산업간의 융합으로 신성장 동력과 부가가치 창출, 창조적 벤처의 창업 촉진이라는 정책 비전을 제시하고 있지만, 현재 ICT R&D 성과 확산 노력은 국민과 중소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ICT 산업 진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술거래의 경우, 현재 미래창조과학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산업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특허청(한국발명진흥회) 등으로 관련기관이 분산돼 있어 업무의 비효율이 높고 성과도 저조하다는 것이다.

권 의원은 " 창조경제의 '씨앗'인 지식자산과 노하우를 정부가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고, 연구개발 성과가 사업화를 통해 기업의 성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흩어져 있는 기술거래 기관과 기능을 통합해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과거 한국기술거래소(KTTC, 2000년 설립)가 기술거래전문기관으로 기술가치평가, 기술이전 등을 수행했지만 추가 R&D 및 기술평가·보증체계가 부재하고 기술거래·사업화 지원인력 부족, 사후지원 미흡 등으로 인해 2009년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으로 개편된 바 있다. 이에 단순 기술거래가 아닌 ICT 분야 기술사업화를 전주기 지원을 할 수 있는 전문기술진흥체계의 구축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권 의원은 "새롭게 신설될 전문기술진흥체계는 ICT 분야 기술평가, 기술이전, 추가기술개발, 금융지원, 사후지원, 홍보체계 등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주요 기능으로 ICT R&D 성과의 대외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술평가·품질보증체계 구축, 기술이전연계 추가기술개발사업 추진, 중소기업 대상 글로벌 ICT 기술사업화 컨설팅 및 네트워크 구축, 성과전시회, 상시홍보 강화, 그리고 사업화분야 전문인력 양성 등을 수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방안이 실현될 경우 향후 5년간 사업화연계 기술거래 700건, 생산유발 1조원, 고용유발 3만2000명의 기대효과가 있다고 권 의원은 덧붙였다.




김영식 기자 gr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