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14일 사의를 표명했다. 지난 4일 사임한 강만수 산은금융지주 회장에 이어 이팔성 회장까지 결국 '정권발 외풍'으로 자리에서 물러나게 된 것이다. 강 회장과 이 회장 모두 스스로 자리를 그만두고 물러남에 따라 이명박(MB) 전 정권에서 두 회장과 함께 금융계 '4대 천왕'으로 함께 불렸던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의 거취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날 이팔성 회장은 사의표명을 하면서 "처음으로 한 금융기관의 말단행원에서 시작해 그룹회장이 된 것을 무한한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1967년 우리은행 신입행원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해 지난 40여년 간 우리은행과 우리금융에서 회사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는 회장 취임 이후 우리금융 민영화를 위해 노력했지만 무산된 것에 대해 아쉬운 마음도 표현했다. 이 회장은 "우리금융 민영화를 위해 정부 지분 17%를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고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3차에 걸쳐 완전 민영화를 시도했지만 무산됐는데 우리나라 금융산업 발전을 위해 민영화가 조기에 이루어지길 간절히 기원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이 사의를 밝힌 것도 우리금융 민영화를 추진하는 새 정부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서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 회장의 임기는 2014년 3월까지지만 금융당국은 당장 올해 6월말까지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고, 이를 새로운 회장이 이끌기를 원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지난 5일 "우리금융 회장은 정부의 민영화 의지와 철학을 같이할 수 있는 분이 맡는 게 좋다"며 "(이팔성 회장은) 본인이 알아서 잘 하실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사퇴를 압박한 것이다.
이 회장은 그동안 사퇴 압박에도 불구하고 민영화 추진에 대한 의지를 수차례 강조하는 등 임기를 마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지만 정부의 압박에 적지 않은 부담을 느껴 결국 이날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이 회장이 물러남에 따라 우리금융에서는 그의 측근으로 분류된 인사들도 회사를 떠나는 등 임원들의 대규모 인사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팔성 회장이 거취를 결정한 만큼 새로운 회장이 선임되면 대규모로 조직이 바뀌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우리금융의 신임 회장 선임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사외이사,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회장후보추천위원회가 꾸려지고 공모절차를 거쳐 후보를 추천하게 된다. 이후 단독으로 후보가 추천되면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거쳐 최종 선임된다. 우리금융은 정부가 지분 57%를 가지고 있어 새 회장 선임시 정부의 입김이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금융지주 차기회장 후보로는 이덕훈 키스톤 프라이빗에쿼티(PE) 대표, 임종룡 전 국무총리실장, 이순우 우리은행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이 회장의 사임으로 MB 전 정권의 금융계 4대 천황 가운데 유일하게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만이 자리에 남은 상황이다. 어 회장의 경우 이달 회장후보추천위원회가 구성될 예정으로 강만수 회장, 이팔성 회장과는 달리 금융당국의 압력이 아닌 회추위를 통해 자연스럽게 거취가 결정될 될 것으로 보인다.
어 회장의 임기는 올해 7월까지다. KB금융 이사회는 이달 안으로 회장후보추천위원회(이하 회추위)를 구성할 계획이다. 회장후보 자격 기준과 선임방법을 정하고, 인터뷰와 자격 검증 절차에 드는 시간을 고려하면 이달 안에는 회추위를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 이사회의 생각이다. 회장 후보가 추려지면 임시주총을 통해 회장을 최종 선임하게 된다.
아직까지 선임방법 등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어윤대 회장이 후보군에 들 수 있을지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다. 만약 공모 형식으로 진행된다면 현 회장이 연임을 원한다면 직접 연임 의사를 밝히면 된다. 그러나 추천제로 진행될 경우 이사회가 후보군에 이름을 올리지 않으면 연임할 방법은 사실상 없다. 어 회장은 지난달 22일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연임에 대해서는) 아직 답하기 이르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임기 전에 사의를 표명할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KB금융 관계자는 "(어윤대 회장) 거취에 대해서는 아직 어떠한 표명이나 결정된 바가 없다"며 "회장 후보 추천과 관련한 일정이나 후보군 등도 어떤 논의가 진행된 바 없다"고 말했다.
여타 금융권 수장들의 움직임도 관심사다. 안택수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진영욱 정책금융공사 사장, 김정국 기술신용보증기금 이사장, 조준희 IBK기업은행장 등의 거취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 이팔성 회장의 사임으로 정권발 외풍의 힘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며 "어윤대 회장을 포함해 금융권 수장들의 거취가 속속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대섭 기자 joas1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