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대통령·여야와의 소통으로 난제 풀어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박근혜 대통령이 내일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한 민주통합당 지도부와 청와대에서 저녁을 함께한다. 대통령 취임 이후 야당 지도부와 공식으로 만나기는 처음이다. 그제 새누리당 지도부와의 만찬, 어제 국회의장단과의 오찬에 이은 적극적 소통 행보다. 안보 위기에 경제 사정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대통령이 여야 정치권과 만나 국정 현안을 논의하는 것은 그 자체로 반가운 소식이다.


대통령이 여야 정치권, 국회와 소통의 폭을 넓히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국정을 원활하게 이끌려면 국민 지지와 국회 협조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각료 인선과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 과정에서 소통 부재로 '정부 지각출범'이라는 대가를 치렀다. 정부 출범 초기 국정 혼선과 그에 따른 국민 피해를 생각하면 외려 늦은 감이 있다. 대통령의 잇단 소통 행보가 상생의 정치가 자리 잡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우리가 처한 안팎의 환경은 엄중하다. 북한은 무력도발 위협을 계속하면서 개성공단 내 공장 가동을 중단시켰다. 안보 위기가 최고조다. 정부 스스로 성장률 전망을 크게 낮추는 등 경제 상황도 좋지 않다. 4ㆍ1 부동산대책 후속 입법, 경기 활성화를 위한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 현안이 쌓여 있다. 박 대통령과 야당 지도부는 이 같은 난제들을 풀 구체적인 합의안을 도출해 국민을 안심시켜야 할 책무가 있다.


청와대 회동이 밥 먹고 덕담이나 주고받는 자리에 그쳐선 안 된다. 국정 현안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는 생산적 만남이 돼야 한다. 박 대통령은 진솔하게 야당의 협조를 구해야 할 것이다. 민주당을 국정의 동반자로 인식하고 쓴소리를 듣겠다는 열린 자세로 만나야 한다. 민주당도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닌 정책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안보와 경제엔 여야가 따로 없다. 협력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상생의 정치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정치가 안보와 경제, 민생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믿음을 국민에게 심어주는 것이다. 청와대와 야당 간, 여야 간, 서로가 듣고 싶은 말만 듣고 제 할 말만 한다면 상생의 정치는 요원하다. 박 대통령 스스로 정치권의 말을 "많이 듣겠다"고 했다. 문 비대위원장은 "민생과 안보에 적극 협조할 용의가 있다"고 했다. 빈말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