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 올해 12만6천개 일자리 만든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도청 홈페이지에 올해 일자리창출 종합계획 발표···5개분야 126개 사업에 2조7780억 사업비 투입

[수원=이영규 기자]경기도가 올해 12만 6000개의 일자리를 만든다. 도는 이를 위해 총 2조7780억 원을 쏟아붓는다. 일자리는 지난해보다 1만개 정도가 늘었으며, 사업비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도는 13일 올해 5개 분야 126개 사업에 ▲국비 1924억 원 ▲도 및 시군비 4945억 원 ▲기금 및 민간지원금 2조911억 원 등 모두 2조 7780억 원을 투입해 12만 6817개의 일자리를 만드는 '2013년도 경기도 일자리창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도가 제시한 5개 분야는 ▲일자리창출 ▲취업지원 서비스 및 미스매치 해소 ▲직업훈련 ▲일자리 인프라 구축 ▲유관기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운영 등이다.


도는 우선 일자리창출을 위해 모두 91개 사업에 2조 7572억 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총 12만 6817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것.

주요 사업 내용을 보면 ▲글로벌 첨단기업 전략적 투자유치(6100개)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통한 민간일자리(3만815개) ▲R&D 및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 육성(1만8285개) ▲북부지역 섬유산업육성 및 공공근로등 지역사회일자리(1만8703개) ▲취약계층 자립ㆍ가족복지 일자리(4만8440개) ▲창업지원 등 (4474개) 등 모두 10개 부문 91개 사업이다.


세부 사업으로는 판교테크노밸리 및 광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한 미래형 R&D 클러스터 육성과 과학기술 및 인적자원 개발, K팝 전용 야외공연장 유치 등 국가의 경제정책 전략과 연계한 전략산업 육성과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자금ㆍ기술ㆍ수출지원을 통한 기업의 자생력 강화, 건실한 소상공인 육성을 위한 창업교육 및 컨설팅 지원 등이다.


취업지원 서비스 및 미스매치 해소 분야는 찾아가는 일자리버스, 계층별ㆍ권역별 맞춤형 채용박람회 개최(36회), 전문상담사와 함께하는 경기일자리센터 상담창구 운영 등 찾아가는 현장중심 고용서비스와 여성 새로일하기센터와 베이비부머 재취업 등 16개 사업을 통해 8만5757명에게 일자리를 알선하고, 이 중 3만809명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직업훈련 분야는 현장중심의 특성화고생 취업내비게이션, 경기청년뉴딜사업 등 7개 사업과 경력단절여성, 전업주부, 결혼이민자등 8개의 맞춤형 전문직업훈련, 창업실전중심의 소상공인의 힐링프로젝트, 베이비부머를 구인난을 겪는 중소기업에 연계하는 베이비부머 중소기업 빈일자리 매칭 프로젝트 등 지역맞춤형 인력양성 4개 사업 등이다. 이들 사업을 통해 도는 총 7060명에게 직업훈련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중 3647명을 취업시킨다는 계획이다.


도는 이외에도 지역주민 밀착형 고용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자리 인프라 구축과 지역노사민정협의회, 경기고용포럼 등을 활용한 유관기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을 추진키로 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지난해 경기도 취업자 수는 592만 명으로 국내 신규 취업자의 20.6%를 차지할 만큼 많은 일자리가 경기도에서 나왔다"며 "올해 도정사업 1순위가 일자리 창출인 만큼 공공분야 뿐아니라 민간 분야 일자리 창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