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임대주택 2년 살면, 차 한대값 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SH공사가 공급하는 서울의 임대아파트 월세가 같은 지역에 위치한 민간 월세에 비해 최고 4배나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차계약이 통상 2년인 점을 감안하면 임대주택에 24개월 거주할 경우 1000만~2000만원 이상을 아낄 수 있다는 분석이다.


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SH공사가 지난달 28일 공고한 국민임대주택 보증금과 임대료를 기준으로 동일 지역 민간아파트의 실제 거래된 월세가격을 비교한 결과 최소 2배에서 최고 4배까지 임대주택 월세가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컨대 서초구 우면동에 들어선 임대아파트 ‘서초네이처힐’을 살펴보면 비슷한 면적과 보증금에서 일반 임대주택 월세를 기준으로 90만원 가량 저렴하다. 또 마포구 상암동과 성동구 마장동, 노원구 상계동, 강서구 내발산동에서도 월세에 대한 가격편차가 서초구와 비슷하게 확인됐다. 윤지해 부동산114 연구원은 “민간아파트의 면적이 조금 더 넓은 편이어서 월세가 높은 것이 정상이지만 이같은 부분을 감안해도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우면동내 같은 세입자라도 민간주택 임대냐, SH공사 임대냐에 따라 2년 동안 2160만원이나 차이가 생겼다. 2년 거주 후 임대주택을 퇴거한다 해도 세입자 입장에서는 소형차 한 대 값을 아낄 수 있는 셈이다.


이렇다보니 전문가들은 무주택 세대주 요건을 갖추고 있는 임차인이라면 임대주택 입성을 노려볼 만하다고 조언한다. 우선 서울시 국민임대의 입주조건은 해당 지역(구)에 거주하는 세대주가 우선이다. 서울시 거주기간이 5년 이상이어야 가점이 높아진다. 또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미성년 자녀가 많을수록 경쟁력이 높아지고 청약통장 납입회수에 따른 가점도 있다. 서울에 오래 살면서 지역우선이나 청약통장 납입회수가 60회 이상이라면 임대주택 입성을 쉽게 포기할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다.


윤 연구원은 “새 정부의 '행복주택 프로젝트'로 임대주택 공급물량이 늘어날 전망이어서 기회는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임대주택 2년 살면, 차 한대값 번다?
AD




배경환 기자 khb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