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용산개발, 새정부가 중재 나서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김창익 기자]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이 부도 초읽기에 몰렸다. 이런 가운데 코레일이 자금조달 방법으로 시행사인 드림허브를 자회사로 편입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드림허브 지분 51%를 확보해 공기업화시킴으로써 경영권을 쥐고 외부자 유치와 정부 지원을 함께 이끌어내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코레일 고위관계자는 "3월12일이면 당장 부도인데 공영개발을 타진하는게 너무 여유로운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 "일단 민간출자사들이 이 방안을 받아들여야 차후 문제를 논할 수 있다"고 25일 말했다. "부도가 나면 어떡하느냐"는 말엔 "그거야 뭐…"라며 말끝을 흐렸다. 어쩔 수 없다는 뜻으로 들렸다.

시행사 대주주인 롯데관광개발의 태도는 어떤가. 코레일의 드림허브 경영권 장악을 수용할 수 있는지 물어보자 롯데관광 고위관계자는 "코레일이 개발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 못하고 있다"며 "민간 출자사 대다수가 반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도가 나면 코레일이 막대한 손실을 감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렇게 내몰지는 못할 것"이라고도 했다.


두 대주주의 갈등은 어느 한쪽이 겁을 먹고 물러서야 공멸을 피할 수 있는 '치킨게임'으로 비쳐진다. 두둑한 배짱은 도대체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코레일은 부도가 날 경우 손해보는 쪽이 롯데관광 쪽이라고 보고 있다. 자본금 50억원의 수십배인 1500억원의 투자금을 날릴 롯데관광이 먼저 핸들을 꺾을 것이라는 믿음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비해 롯데관광은 단기자금을 마련해 당장의 부도 위기를 넘기면 정권교체와 함께 현재의 경영진이 갈리며 협상의 여지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는 모양새다. 한 민간출자사의 관계자는 "부도가 나 땅값을 받지 못할 경우 공기업 공채발행한도를 넘겨 코레일도 동반 부도가 날 것"이라며 코레일이 양보할 것이란 점을 내비쳤다.


양쪽 모두 상대방이 먼저 양보하게 될 것이란 확신을 전제로 밀어붙이기를 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이 사업이 실제 파국으로 끝날 경우 사업 당사자는 물론 가뜩이나 장기침체로 허덕이는 부동산시장에 메가톤급 악재가 될 것이란 지적이 많다. 제3자라도 나서서 어느 한쪽의 핸들을 틀어줘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김창익 기자 window@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