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효진 기자]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새 정부 1기 내각 조각과 청와대 인선을 마무리한 가운데 공정거래위원장과 금융위원장, 감사원장 자리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가장 큰 관심은 '경제검찰'로 불리는 공정위의 수장 자리에 누가 앉게 될지다.
박 당선인의 최대 관심사로 꼽히는 대ㆍ중소기업간 불공정 거래 관행 근절을 포함해 경제민주화 구상을 구체화할 각종 규제ㆍ단속 활동이 공정위의 몫이다.
당선인과 코드를 얼마나 잘 맞출 수 있는지, 개혁 성향이 분명한지 등이 중요한 기준으로 여겨진다.
박 당선인과 정치적ㆍ정책적으로 호흡을 맞춰온 여권 인사가 발탁될 수 있다는 전망이 그래서 나온다.
친박(親박근혜) 핵심으로 분류되는 이혜훈 새누리당 최고위원이 심심찮게 거명되고 있다. 이 최고위원은 당내 경제민주화실천모임 소속이다.
이 최고위원과 함께 경제민주화실천모임을 주도한 남경필 의원도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다. 당내 쇄신파로 분류되는 남 의원은 개혁 성향이 남다르다.
박 당선인을 향한 직언으로 유명한 유승민 의원도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공정위원장과 달리 금융위원장 자리에는 전문성과 안정성이 높은 관료가 기용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금융위는 가계부채 문제 해결이라는 중책을 떠안고 있다.
권혁세 금융감독원장, 신제윤 기획재정부 1차관, 임종룡 국무총리실장, 추경호 금융위 부위원장, 김주현 예금보험공사 사장 등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박 당선인이 조각과 청와대 인선에서 지역안배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만큼 이들 기관장 인선에서는 출신지역이 중요하게 고려될 수도 있다.
앞서 거명한 인사들 가운데 호남 출신은 임종룡 실장(전남 보성)이 유일하다.
공정위원장과 금융위원장의 임기는 3년이다. 김동수 현 공정위원장과 김석동 현 금융위원장의 임기는 각각 약 10개월ㆍ11개월씩 남아있다.
그러나 정권교체기가 되면 이들 위원장은 사표를 내고 신임 대통령이 새로 인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관례에 가깝다.
김석동 위원장은 이달 중순 청와대에 사표를 냈다. 김동수 위원장은 지난달 29일 기자 간담회에서 "차기 정부에 부담을 주고 싶지 않다"는 말로 사실상 사의를 밝혔다.
공정위나 금융위와 달리 감사원은 전망이 간단치 않다.
감사원은 헌법상의 독립기구이며 원장의 임기(4년)도 헌법으로 보장된다.
양건 현 원장은 2011년 3월에 취임했다. 임기 절반이 남아있는 것이다.
다른 기관장과 달리 감사원장은 중도 사퇴하는 경우가 드물다.
참여정부 때 취임한 전윤철 원장이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2008년 5월 임기를 채우지 못한 상황에서 '새 정부의 팀워크'를 이유로 자진사퇴했으나 흔한 사레는 아니며 사퇴 시점 또한 재임(再任) 기간중이었다.
김황식 국무총리도 2008년에 감사원장에 올라 2010년 물러났는데, 이는 '총리 발탁'이라는 특수한 배경에 따른 것이었다.
양건 현 원장 역시 쉽게 교체되진 않을 것이란 관측의 배경이다.
다만 4대강 감사 결과를 둘러싸고 현 정부와 빚은 마찰 등이 교체의 단초가 될지 모른다는 조심스러운 전망도 나온다.
대선 때 새누리당 정치쇄신특별위원장을 지낸 안대희 전 대법관, 김영란 전 대법관, 목영준 헌법재판관 등이 시점에 관계 없이 감사원장 후보군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김효진 기자 hjn2529@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