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앞으로 우리의 경제는 어떻게 될 것인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7초

1월 5주 예스24 비즈니스와 경제 부문 추천도서 3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경제는 침체기가 계속되고 있다. 나라 안으로는 비정규직, 청년실업, 빈곤층 확대 등이 사회 전반적인 문제로 자리잡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자원 고갈, 환경오염, 금융 붕괴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하루아침에 나온 것이 아니라 조금씩 문제가 돼왔던 것들이 한꺼번에 터져 나온 것이다. 앞으로 국가들은 서로 더 많은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이다. 이러한 경제적 문제들의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이고, 앞으로 올 경제위기에 대처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우리나라 경제와 세계경제의 현 상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 지 대안을 안내해 줄 책 3권을 소개한다.


1. 절벽에 선 한국경제

앞으로 우리의 경제는 어떻게 될 것인가?
AD



6.25 한국전쟁 이후 가장 심각했던 국가적인 경제위기를 ‘1997년 금융위기’라거나 ‘1997년 경제위기’라는 표현 대신 ‘IMF 외환위기’라고 부른다. 그런 작명은 국가 위기를 IMF가 조장했다는 해석을 내포하고 있다. 한국 경제 내부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뜻이다. 그 위기는 우리들 잘못이 아니라, 나라 밖에서 닥쳐온 파도를 막지 못해 당했다는 의식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내 탓이오’라는 반성보다는 ‘당했다’는 피해의식은 그 후 한국 경제가 가는 길을 결정하고 말았다. 우리들은 외부의 충격에 당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자기 반성, 자기 개혁에 게을렀다. 외부 충격을 막을 방안을 궁리하는데 골몰하면서 자기를 바꿔보려고 하지 않았다. 그것이 1998년 이후 2012년까지 15년의 한국 경제의 문제를 대거 잉태했다.


비정규직 문제, 재벌 개혁, 빈곤층 확대, 청년백수 등 우리 사회의 수많은 골칫거리는 1997년의 위기를 잘못 해석한데서 출발했다고 보면 된다. 2012년 선거에서 폭발한 재벌 개혁의 목소리, 복지 수요는 65년간 고집스럽게 유지해온 분배의 법칙을 바꿔달라는 것이었다. 이런 신호를 놓치면 큰 재앙이 닥칠 것이다. 한국 경제는 이제 결단을 내려야 할 순간을 맞았다. 65년간 성공적으로 지켜온 ‘성장의 법칙’과 ‘분배의 공식’을 변형시켜야 한다. 이에 30년 경제전문가가 빛나는 통찰력으로 제시하는 경제, 노동, 사회 등 분야별로 문제점을 진단하고 44가지 대안을 제시한다.


2. 스한빙 경제대이동


앞으로 우리의 경제는 어떻게 될 것인가?



2013년 이후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는 세력 균형이 흔들리면서 더욱 불안정해질 듯하다. 시진핑 체제의 중국과 오바마 2기 정부의 미국은 새로운 G2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미국, 러시아, 일본, EU 등 열강들의 권력 재편 과정에서 중국의 전략은 과연 무엇인가? 글로벌 경제와 국제관계 연구의 권위자인 스한빙 상하이자오퉁대 교수는 열강들의 정책 이면에 숨어 있는 각국의 속내와 진실을 중국의 입장과 시각에서 파헤친다. 저자는 세계경제의 중심축이 미국에서 중국으로 이동하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새로운 관계 설정이 전 세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전망한다.


이 책에서 저자 스한빙은 세계경제의 움직임을 마치 ‘거대한 체스판’ 위에서 권력 주체들이 지략을 다투는 게임에 비유하면서, 서서히 시작되고 있는 새로운 게임의 실체를 밝히고 미래의 큰 흐름을 내다본다. 최근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중국 경제의 경착륙 및 버블 붕괴 우려에 대해 진단하는 한편, 금융위기 이후 주요 국가들의 움직임과 국제 정세를 통해 세계경제의 향방을 전망하고 중국의 미래 전략을 제시한다.


3.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앞으로 우리의 경제는 어떻게 될 것인가?



책의 핵심 주장은 간단하면서도 충격적이다. 우리가 알던 경제 성장은 이제 ‘끝났다’는 것. 지금의 경제는 무너질 수밖에 없다. 석유 정점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이자 환경운동가들에게 영감을 주는 지식인으로 평가받는 리처드 하인버그는 이 책을 통해 성장에 기반한 경제학이 적시하지 못하는 세계 경제의 미래에 대한 근본적이고도 탁월한 전망을 제시한다.


저자는 자원 고갈, 환경 재앙, 부채 급증에 직면한 경제가 더는 성장할 수 없는 이유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내며, 우리가 떠받드는 경제 이론을 재평가한다. 성장이 종말을 맞이한 현실은 일견 암울하다. 하지만 인류가 양적 팽창과 성장 중독에서 자유로워진다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의 번영을 누릴 기회이기도 하다. 이 책은 지구의 에너지와 자원의 한계를 인정하고 더 이상 성장하지 않는 ‘평형 경제’ 속에서 삶의 질을 끌어올리는 새로운 경제를 건설하기 위해 정책 입안자, 공동체, 개인이 해야 할 일을 제시해 준다.




박종서 기자 jspark@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