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총리 청문회 뇌관 '1975년의 400만원' 가치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4초

[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지난 1971년. 당시 37세이던 김만제 한국개발연구원(KDI) 초대 원장이 뉴욕으로 떠났다. 정책 싱크탱크 KDI 출범을 준비하기 위해서다.


김 원장은 KDI를 함께 만들 연구원을 뽑으러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귀국길, 그의 수첩엔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10명의 개원 멤버 이름이 적혀 있었다. 사공일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과 지난해 작고한 홍원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 등 기라성 같은 원로들이 그 때 낙점됐다.

박정희 당시 대통령은 20대 후반이던 젊은 연구원들에게 "반포의 아파트와 월급 3만원씩을 주라"고 했다. 당시 서울대 교수의 월급이 1만원 남짓이었으니 상당히 파격적인 처우였다.


1970년대 초반 월급 3만원은 귀한 미국 박사를 국내로 불러들일만큼 큰 돈이었다. 그러니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의 장·차남이 1975년 할머니에게 받았다는 400만원 상당 토지(각 200만원)는 실로 엄청난 재산이다.


400만원은 국내 최고 대학의 교수가 연봉 12만원을 33년 동안 한 푼도 안 쓰고 모아야 만들 수 있는 거액이었다. 박 전 대통령이 국가의 장래를 맡기자며 직접 챙겼던 KDI 교수도 36만원의 연봉을 꼬박 11년 동안 모아야 이 돈을 모을 수 있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김 후보자의 재산 편법증여 관련 의혹에 말을 아끼면서 총리실을 통해 적극 해명하고 있다. 하지만 당시 화폐가치를 고려하면, 편법·탈법 정황이 드러날 경우 박근혜 정부의 신뢰도에도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박연미 기자 chang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