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평균 62세까지는 일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당신은 몇살까지 일하고 싶습니까?" 우리나라 국민들은 평균 약 62세까지 일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전국 성인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일자리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이 같이 조사됐다. 세부적으로는 65세까지 일하고 싶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34.1%로 가장 많았고, 60세까지로 답한 응답자는 31.8%로 파악됐다.

70세까지는 14.5%, 70세 이상은 9.2%로 집계됐다. 반면 55세까지만 일하고 싶다는 응답자도 10.3%나 됐다.


연령별로는 20대의 경우 평균 60.4세까지만 일하고 싶어 하는 반면, 30대 61.6세, 40대 62.2세, 50대 63.2세, 60대 이상은 65.8세까지로 드러났다.

소득별로는 100만원 이하의 경우가 64.9세로 타 소득자에 비해 가장 오랫동안 일하고 싶어 했다. 100만~300만원은 62.1세, 300만~500만원은 61.6세, 500만원 이상은 62.3세였다.


직업별로는 사무직이 가장 짧고 자영업자가 가장 길게 일하고 싶어 했다. 사무직은 61.2세까지인 반면, 자영업자는 63.8세까지 일하는 것을 원했다. 판매서비스직은 62.1세, 생산직은 62세로 나타냈다.


아울러 국민 10명 중 5~6명은 사무직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사무직 선호도(56.7%)가 가장 높은 가운데 서비스직(20.3%), 생산직(15.9%), 영업직(7.1%) 순으로 집계됐다.


또한 월 평균 희망 급여는 230만원선으로 연봉 환산시 약 2800만원 정도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가 월 평균 241만원으로 가장 많이 받고 싶어 했고, 20대 226만원, 30대 237만원, 50대 220만원, 60대 이상은 19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현재 일을 하고 있는 국민의 약 68%가 자신의 일자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10명 중 7명은 자신이 좋은 일자리에서 일할 수 있는 자격이 충분하다고 인식했다.


보고서는 "사무직에 치중하는 국민들의 선호를 생산직이나 서비스직으로 인식 전환 필요하다"며 "본격화되는 고령화 사회를 대비해 정년 연장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야한다"고 언급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