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굽네치킨 매장 1000곳 이상 늘리지 않겠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홍경호 지엔푸드대표의 상생선언

"굽네치킨 매장 1000곳 이상 늘리지 않겠다"
AD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매장을 1000개 이상은 늘리지 않겠습니다."


굽네치킨을 운영하는 홍경호 지엔푸드 대표(사진)는 9일 경기도 일산 본사에서 기자와 만나 "회사 이익이 매장 수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가맹점의 매출에 따라 달라지는 구조이기 때문 에 매장 수에 집착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를 증명하듯 굽네치킨은 2005년 설립한 이후 지난 7년간 단 한번도 창업설명회를 진행한 적이 없다. 현재 운영하고 있는 870개 매장 모두 가맹문의가 오면 해당지역의 슈퍼바이저가 1:1로 상담해 개장한 것들이다. 매장 확대가 주력이 아니다보니 이 회사에는 점포개발팀은 물론 영업사원도 없다. 동일업종의 제너시스 BBQ그룹이 BBQㆍBHC 합산 2400여개 이상, 네네치킨이 1000여개 이상 운영하고 있으니 굽네치킨이 양적확대에 공격적으로 나설 여지는 충분하다. 그러나 홍 대표는 도리어 확장자제를 논하고 있다.


프랜차이즈 업계의 특성상 매장 수는 본사 매출과 시장 지배력으로 이어지는데 왜 홍 대표는 거꾸로 가는 걸까. 간단하다. 본사 이익이 신규매장 수가 아니라 기존 가맹점들의 매출 증가에서 창출되기 때문이다.

홍 대표는 "가맹점주에게 보증금ㆍ교육비ㆍ로열티ㆍ가맹비를 일절 받지 않는다"면서 "본사의 이익은 오로지 가맹점에 납품하는 물류비로만 발생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지엔푸드가 전라북도 정읍에 닭 가공공장을 직접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현재 지엔푸드는 살아있는 생계를 사서 자체 도축, 포장하고 이를 진공팩으로 만들어 가맹점에 납품하고 있다. 수익은 이때 발생하는 납품·물류비에서만 발생한다. 외주에서 파는 가 공 생닭보다 원가를 낮출 수 있고 매장에 들어가는 원료육, 소스 등의 납품량이 많을수록 본사도 이익이다. 반대로 가맹점 매출이 10%만 떨어져도 본사가 직접 타격을 입는다.


홍 대표는 "당장의 이익을 따지기보다 가맹점이 많은 수익이 날 수 있도록 본사가 끊임없이 지원해주고, 결국 이것이 본사와 가맹점 모두 이익을 볼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싶었다 "면서 "보증금ㆍ교육비ㆍ로열티ㆍ가맹비를 과감히 없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구조는 본사가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가맹점들의 매출이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해줘야한다" 며 "억지로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본사와 가맹점간의 상생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 대표는 모범거래기준안 등이 만들어지기 이전부터 가맹점 1개당 1만~1만2000가구를 커버할 수 있도록 신규출점 가능 지역을 규제해왔다. 동종업계 1위 업체가 가맹점 1개당 4000개 가구를 맡고 있는 것에 비하면 철저히 가맹점 상권보호를 실천하고 있는 셈이다.


그는 제2의 꿈을 꾸고 있다. 한 업종에서 무리하게 매장 수를 늘리기보다 새로운 브랜드를 키우는 일에 에너지를 쏟고 있다. 이에 곱창전문점 인생막창, 맥주전문점 94번가 등을 새롭게 선보이고 강남 쪽에 테스트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홍 대표는 "지엔푸드의 경영철학은 역지사지"라면서 "가맹점주들의 입장에 서서 인테리어 비용 절감, 광고비 본사 부담 등을 실천하는 것이야말로 상생이 아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