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광주 무등산,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재탄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04초

[아시아경제 김수진 기자]광주 무등산이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1988년 변산반도와 월출산 국립공원 지정 이후 24년만의 국립공원 탄생이다. 지난 1972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됐던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재탄생한 셈이다.


환경부는 27일 제 102차 국립공원위원회를 개최하고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안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공원구역 면적은 광주 북구 26.865㎢, 광주 동구 20.789㎢, 전남 화순군 15.802㎢, 전남 담양군 11.969㎢ 등 총 75.425㎢로 도립공원이었던 때보다 2.5배 넓다. 광주호 일대와 소쇄원을 비롯한 가사문화권 지역은 주민과 지방자치단체 반대로 제외됐다.

무등산이 도립공원으로 지정됐던 것은 지난 1972년. 환경부는 광주광역시의 국립공원 승격지정 건의를 받고 지난해 10월부터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 조사에 착수했다. 그 결과 자연자원가치 면에서 국립공원 지정가치가 충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는 설명이다. 무등산에는 멸종위기종 8종을 포함한 총 2296종의 생물이 서식중이며 산봉, 기암, 괴석 등 경관자원 61개소가 분포하고 있다. 이밖에도 보물 2점 등 지정문화재 17점을 보유하고 있고 도심접근성이 우수해 북한산 국립공원(2010년 851만명)만큼 많은 탐방객(2010년 679만명)이 찾는 곳이다.


지금껏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을 놓고 주민과 토지소유주의 반대는 적지 않았다. 사유지 비율이 74.7%로 매우 높고 신규 편입지역의 대부분이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지역발전 소외감과 이중규제 우려 등이 크게 작용했다. 환경부는 개인 사유지를 국립공원으로 편입하는데 동의한 지자체와 주민의 반발을 완화하기 위해 사유지 매입예산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고 국민신탁, 기증운동 등과 연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앞으로 무등산 국립공원 지역에서는 자연자원보존과 지역사회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관리가 이뤄진다. 수닭, 삵 등 멸종위기종 서식지역에 대한 정밀생태계 조사를 실시하고 훼손된 탐방로 정비와 정상부 경관복원사업 등이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또한 1973년부터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돼 주민들의 상대적 소외감이 큰 담양과 화순 지역 중심으로 생태관광 인프라를 확충하고 명품마을을 조성한다. 국립공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매년 북한산 3847억원, 설악산 3351억원, 지리산 1076억원 수준이다.


이밖에도 공원관리업무를 전액 국가예산으로 지원하고 관리인력을 100명 규모로 2배 가량 늘린다. 내년 3월 무등산 공원관리사무소 개소 이후에는 지자체와 시민단체, 사찰, 주민대표 등이 참여하는 지역협력위원회가 구성돼 공원관리청과 관계기관, 단체 사이의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김수진 기자 sj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