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다문화' 보듬어야 경제·사회 건강해진다

시계아이콘01분 00초 소요

[아시아경제 ]우리 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음을 보여주는 통계가 잇따라 나왔다. 다문화가정 출생아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데 집안 형편은 어렵고 부모 이혼마저 늘어나는 등 교육 환경이 열악하다. 외국인 노동자도 대다수가 힘들고 어설프고 위험한 3D 업종에서 장시간 일하면서도 그에 상응한 급여를 받지 못하는 등 취업 여건이 열악하다.


통계청이 발표한 다문화인구 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가정 출생아는 2만2014명으로 전체 출생아의 4.7%였다. 출생아 20명 중 한 명꼴이다. 전년 대비 증가율이 8.4%로 전체 출생아 증가율(0.2%)의 40배를 넘어 2050년에 가면 출생아 3명 중 1명이 다문화가정 출신일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문제는 이들 다문화 2세들이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에 부모 이혼, 언어장벽, 학교에서의 왕따 등으로 사회안전망 밖에 노출돼 있다는 점이다.

통계청이 이번에 처음 조사했다는 외국인 고용조사 결과는 그들의 고된 삶을 여실히 나타낸다. 국내 체류 외국인 146만명 중 15세 이상이 111만명, 그 중 취업자가 71%(79만명)이다. 취업자의 3분의 1이 일주일에 60시간 이상 일한다. 그러면서도 취업자의 3분의 2는 월 200만원을 밑도는 급여를 받는다. 최저임금 수준에 못 미치는 월 100만원 미만을 받는 경우도 5만2000명(6.8%)에 이른다. 사업장 내에서의 폭행이나 폭언, 임금체불 등이 개선되고 있다지만 불합리한 대우를 받는 경우가 여전히 적지 않음을 보여준다.


저출산ㆍ고령화가 특징인 인구구조와 노동시장 여건으로 볼 때 외국인이 들어와 가정을 꾸리고 경제활동을 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이미 결혼이주 여성이 약 19만명이고, 이들이 낳은 아이들이 초ㆍ중ㆍ고교를 거쳐 군에 입대하는 나이에 이르렀다. 외국인의 우리 사회 기여도가 적지 않다.

다문화가정과 외국인 인력 활용의 불가피성을 인정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이들을 포용해 사회의 건전한 구성원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경제ㆍ사회적 취약계층인 다문화가정과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맞춤형 복지 대책이 요구된다. 정부와 사회단체가 함께 나서야 한다. 과거 낡은 순혈주의 사고방식으론 사회와 경제가 지속 가능하기 어렵다. 이민정책도 보다 전향적으로 고려할 때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