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에 비해 교육비를 과다하게 지출해 어려움에 처한 '교육 빈곤층', 이른바 '에듀 푸어(Education Poor)' 문제가 심각하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어제 '2011년 국내 가구의 교육비 지출 구조 분석' 보고서에서 지난해 말 현재 에듀 푸어가 82만4000가구에 305만명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자녀의 교육비를 지출하는 632만6000가구 중 13%에 해당한다.
문제는 이들의 교육비 지출이 소득에 비해 훨씬 많다는 점이다. 교육 빈곤층의 월평균 소득은 313만원으로 교육비 지출 전체 가구(433만4000원)보다 120만원 적은 평균 이하다. 하지만 교육비는 더 많이 썼다. 전체 교육가구가 평균 51만2000원을 지출한 반면 교육 빈곤층은 86만8000원을 부담했다. 소득 대비 교육비 지출 비중이 28.5%로 전체 교육가구(18.1%)보다 훨씬 높다.
소득은 평균보다 적은데 교육비는 되레 더 쓰니 가계수지가 적자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전체 가구가 월평균 75만4000원 흑자인 반면 교육 빈곤층은 68만5000원 적자다. 가구주의 절반 가량이 대졸 이상 40대 중산층으로 교육을 제외한 의식주 소비를 줄이거나 빚을 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저임금에 쪼들리는 '워킹 푸어', 주택대출금 상환에 허덕이는 '하우스 푸어'와 함께 또 하나의 사회 문제다.
우리 사회의 학벌중시 풍조가 가장 큰 걸림돌이다. 대학을 나오지 않으면 능력과 관계없이 사회ㆍ경제적으로 차별을 받는 현실에서 생활 형편은 따지지 않고 밥을 굶고 빚을 내서라도 자녀를 무조건 대학에 진학시키려고 기를 쓰기 때문이다. 교육 빈곤층이 지출하는 교육비 가운데 중ㆍ고교의 경우 85.6%가 사교육비라는 점이 그 방증이다. 대학입시를 위한 사교육비 부담이 중산층을 몰락의 길로 이끄는 셈이다.
교육재정을 확충해 공교육의 내실화를 다져 사교육의 필요성을 줄이는 게 급선무다. 무엇보다 고교만 졸업해도 괜찮은 직장을 잡을 수 있고 직장에서도 학력보다 능력에 따라 대우 받는 풍토를 정착시키는 게 근본 해법이다. 정부와 대학, 기업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그릇된 학력 인플레 구조를 차단해 사회ㆍ경제적 낭비를 줄여 나가야 한다. 빚을 지더라도 자녀를 대학에 보내야 한다는 낡은 의식구조도 청산 대상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