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쌍용건설, 매각 무산될 듯…유동성 해결 어떻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이코노믹 리뷰 홍성일 기자]


쌍용건설 매각이 무산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자산관리공사(캠코)와 이랜드의 이견이 크게 갈리면서 협상이 결렬될 공산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20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캠코는 이랜드측에서 요구한 쌍용건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 보증과 가격 추가할인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내비치고 있다.


공자위측에서도 “이랜드가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며 계약이 유보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공자위는 이번 매각소위에서 큰 이견이 없는 한 쌍용건설 매각을 승인할 예정이었다.

이와 관련 캠코측에서는 “이랜드가 PF 우발채무가 많다”며 “추가보증과 매각대금 대폭 할인 등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받아들이기 힘든 수준이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이랜드가 이처럼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은 인수자금이 충분하지 못해 스스로 발을 빼려는 것으로 관측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당초 지난 17일 매각을 완료했어야 하지만 이랜드측이 무리하게 매각가격 추가할인 등을 요구하고 있어 (매각이) 지연되고 있다”면서 “이랜드가 자금이 모자라 발을 빼려 하는지, 아니면 코너에 몰린 캠코에게 알짜 쌍용건설을 헐값으로 매입하려는 전략인지는 모르지만 현재로서는 무산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이랜드측과의 매각 협상이 최정 결렬된다면 쌍용건설은 자체적으로 생존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는 캠코의 부실채권정리기금 종료 시한이 11월22일로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올 연말까지 막아야 하는 유동성이다. 쌍용건설은 9월 400억원, 10월 150억원, 11월 200억원, 12월 300억원 등 총 1050억원의 회사채 만기가 예정돼 있어 급한불을 꺼야 한다.


건설업계에서는 건설·부동산 경기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을때 무리한 매각보다는 제3의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매각시한에 쫒겨 헐값으로 매각하는 것 보다는 다른 방법을 찾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랜드의 자금능력과 매수의지가 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 만큼 매각기간에 쫒기면 안된다”고 지적한 뒤 “(현물 등으로 정부에 반환하더라도) 경영정상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랜드와 매각 협상이 결렬된 후 쌍용건설 유동성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을 통한 자금수혈 방법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코노믹 리뷰 홍성일 기자 hs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