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고삐 풀린 생활물가 서민 옥죈다

시계아이콘01분 01초 소요

국민과자로 불리는 새우깡이 오늘부터 900원에서 1000원으로 올랐다. 마치 고삐 풀린 물가의 상징처럼 보인다. 가뭄과 폭염 등 이상기후로 시금치, 상추 등 각종 채소가격이 한 달 새 두 배 가까이 뛰었다. 수박 등 과일값도 급등했다. 라면, 맥주, 햇반, 콜라, 캔커피, 두유, 우유 등 가공식품 가격도 줄줄이 올랐다. 전기요금이 평균 4.9% 오르는 등 공공요금도 들썩인다.


최근 물가 오름세를 주도하는 품목은 외국산 원료를 사용하는 가공식품들이다. 원재료인 국제 곡물가격이 오르고 전기료가 인상되는 등 원가 상승 부담이 커 더 이상 견딜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정부의 물가안정 압력에 밀려 상당기간 동안 가격을 인상하려다 못 올리는 바람에 경영압박이 가중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채소류와 과일의 경우는 가뭄과 폭염 등 날씨의 영향이 크다.

문제는 앞으로가 더 걱정이라는 점이다.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은 몇 개월 시차를 두고 반영된다. 물가상승 압력이 커지기 마련인 추석 대목도 멀지 않았다. 여기에 날씨의 영향으로 가을배추와 무의 적정수확이 어렵다고 하니 김장철 물가도 위태로운 상황이다. 그동안 정부의 눈치를 보며 몸을 사려왔던 업체들이 정권 말 느슨한 물가관리를 틈타 너도나도 가격 인상에 나설 가능성도 크다. 이래저래 하반기 물가는 불안하기만 하다.


물가가 오르면 고통받는 것은 서민이다. 그렇지만 정부의 시각은 안이하고 대처는 미흡하다. 정부는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5%에 그쳤고 생산자물가는 4달째 하락세라며 '안정적'이라고 강조했다. 국제곡물가격 급등도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낙관적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이는 물가가 지난해 워낙 높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에 무상급식 등 인하효과가 가세한 착시효과다. 이런 저런 요인으로 물가지수는 안정적이라지만 서민이 느끼는 피부물가는 고공행진을 계속한다.

정부는 업체들의 가격 인상이 원재료값 상승 등 인상요인에 따른 적정한 수준인지, 서로 짜고 올리는 것은 없는지, 원가상승요인 이상으로 과도하게 올리는 것은 아닌지 면밀하게 따져봐야 한다. 가격 인상 시기도 적절히 분산시켜 충격을 줄이는 등의 행정지도도 필요하다. 이상기후로 폭등세가 예고된 국제 곡물의 안정적 수급 대책도 확실하게 세워야 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