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올림픽 빛난 투혼, 난국 극복 에너지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고 런던올림픽이 막을 내렸다. 선수들의 도전과 투혼은 새벽까지 밤잠을 설치며 응원한 국민에게 감동과 기쁨을 선사했다. 어려운 가정환경에서도 꿈을 잃지 않은 체조의 양학선은 자신만 구사할 수 있는 신기술로 금메달을 땄다. 양궁은 메달 수보다 많은 여러 국가의 대표팀 지도자 배출로 코리아의 명성을 떨쳤다. 펜싱은 초반 오심 파동을 딛고 정신력으로 종주국 프랑스 등 유럽을 압도했다. 축구대표팀은 홍명보 감독의 '형님 리더십' 아래 올림픽 동메달 신화를 일구며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메달에 연연하지 않고 끝까지 선전하며 참된 스포츠맨십을 실천한 선수들에게도 박수를 보낸다. 근대5종 경기에 출전한 황우진은 말에서 떨어져 부상을 당해 절룩거리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모든 경기를 마쳤다. 역도의 장미란, 여자핸드볼, 여자배구 팀은 매 순간 최선을 다하며 국민과 함께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우생순)을 나눴다.

우리 선수들은 메달 수만이 아닌 경기 내용에서 한국 체육의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불모지였던 사격에서 5개 메달을 땄다. 리듬체조 손연재는 사상 첫 결선 진출에서 5위를 했다. 과거 메달 획득 여부와 그 색깔에 울고 웃던 모습과 달리 세계적 선수들과 경쟁을 즐기는 아름다운 도전으로 우리 사회가 한층 성숙해졌음을 보여주었다.


이와는 달리 대한체육회와 개별 스포츠 협회는 과거 그대로라서 국민과 선수들을 실망시켰다. 대회 초반 우리 선수들에게 집중된 오심과 불리한 판정은 스포츠 외교의 강화 필요성을 새삼 일깨웠다. 문제가 생길 때 즉각 이의를 제기할 수 있도록 경기 현장에 외국어에 능통한 인력을 배치하는 등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육상ㆍ수영 등 기초종목에서의 부진은 해묵은 과제다. 배드민턴 여자복식 선수들의 져주기 경기는 옥에 티였다.

올림픽은 끝났다. 일상으로 돌아와 다시 냉엄한 현실과 마주섰다. 독도 문제 등 한ㆍ일 관계가 껄끄럽다. 북한의 변화도 주목해야 할 대상이다. 가을학기 취업철이 다가오는데 경제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전 분기 대비 3분기 성장률이 0%에 근접하리란 예상까지 나왔다. 젊은 선수들이 흘린 땀방울과 불굴의 도전정신으로 이룬 성과를 기억하며 모두 다시 힘을 내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