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동철의 그림살롱 105회 | 서양화가 이강화 ‘소멸과 약속 그리고 인연의 공간’ 연작
숲길을 오른다. 엷은 땀으로 스치는 유쾌한 아침의 공기. 새들이 지저귄다. 실바람이 명랑한 노래처럼 살포시 윙크한다. 아침의 가벼운 산보에서 피어나는 나의 삶!
발돋움만큼 구름이 오가네. 말쑥한 바람 속을 새털같이 가벼운 맨발로 걷네. 키 작은 하얀 구름은 서성이다 맴돌다 허공에 떠오른다. 그리운 마음의 행로였을까. 당신은 아득한데 젖은 눈에 흩날리는 두화(頭花)가 손짓한다. 돌아보면, 그렇게 시작된 것인가. 처음엔 느릿느릿 이는 저 유운(流雲)처럼. 그러나 어느덧 반짝이는 나의 별이 되어버린 마법의 능력이었음을.
누구도, 그 누구도 없는 황톳길. 술잔에 섞인 고독처럼 희뿌연 그날의 약속이 바람개비처럼 돌아간다. 잊어야지 그래야지 하면 또다시 지펴지는 불씨. 키 큰 노란장대 꽃이 하늘거린다. 혹여 눈물을 훔치며 애원하듯 달려드는 기척일까 돌아보니, 차가운 가랑비만 가당찮은 눈짓을 흘기며 지나갔다. 질금거리는 비. 연민의 마음자리. 흙길은 발그레해져만 가는데 자욱이 깔린 비안개에 뭉실뭉실 피어오르는 떠난 사람의 속살 내음!
엉겅퀴 야생화가 피어난다. 미풍에 매끄럽게 날리는 흰머리처럼 자줏빛 꽃망울을 받쳐든 흰털은 너무도 눈이 부셨다. 상흔(傷痕)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 잎이며 톱니 같은 줄기는 오히려 치열한 생명력에서 발산되는 열정의 빛깔이었다. 꽃이 꽃이라는 이름을 얻기까지 얼마나 곡진한 시간을 참아왔는지, 보라. 흔들림 없이 스스로의 능력을 익히며 순수하게 완전한 세계를 이뤄낸 저 작은 출발의 기적을. 그리고 끝내 화관(花冠)을 이룩한 저 심오(深奧)한 산물을. 엉겅퀴 꽃이 나를 산책시킨다. 아아, 충만한 위안에 피어나는 마음의 꽃. 영원한 사랑은 그렇게 시작되는 것인가.
다시 살아나는 그리움의 편린들
그림자 없는 나팔꽃이 이슬을 머금고 그리움으로 만개했다. 한 뼘씩 그렇게 오르며 세월에 녹아든 나무의 결을 돋보이게 하는 절제. 자신을 희생하며 피어나는 꽃을 어느 누가 덧없는 사랑이라 했나.
향기가 스며온다. 따뜻하고 온화한 손길이 나를 안는다. 가슴 저민 그리움의 편린들이 조용히 살아난다. “한 쪽 시력을 잃은 아버지/내가 무심코 식탁 위에 놓아둔 까만 나팔꽃씨를 환약인줄 알고 드셨다/아침마다 창가에 나팔꽃으로 피어나 자꾸 웃으시는 아버지”<정호승 詩, 나팔꽃>
이코노믹 리뷰 권동철 기자 kdc@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