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중수 "가계부채 규모보다 증가속도를 봐야"

시계아이콘01분 3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금융기관 건전성 괜찮고...부채 분포 현황도 우려 수준 아냐"

김중수 "가계부채 규모보다 증가속도를 봐야"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
AD

[워싱턴=박연미기자]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뜻을 밝혔다. 김 총재는 20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의 W호텔에서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한 DTI 규제 완화'에 대한 입장을 묻자 "DTI 규제 완화가 부동산 시장 활성화에 중요하다는 실증 분석 결과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금융자산의 규모가 금융부채의 두 배를 넘고, 이자가 붙는 금융자산이 국가적으로 100조원 가량 많다"고 답했다.


DTI는 담보를 제공하고 돈을 빌릴 때 소득에 따라 대출 규모에 제한을 두는 제도다. 집값이 오를 것이라 기대하고 무리하게 빚을 내 집 사는 사람들이 없도록 하기 위해 만든 제도지만, 거래가 실종된 요즘엔 실수요자의 손발까지 묶었다는 비판을 받는 것도 사실이다.

김 총재는 이에 "가계부채는 규모보다 증가 속도를 봐야 한다"며 "부채 증가 속도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보다 높은가를 살펴야 한다"고 했다. 900조원을 웃도는 가계부채가 '잠재적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와는 구별되는 목소리다.


그는 그러면서 "지금은 이런 상황이 아닌데다 그동안 담보인정비율(LTV)을 제한해 금융기관의 건전성도 괜찮은 편"이라고 말했다. 가계 빚의 분포 현황도 크게 걱정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봤다. 김 총재는 "부채가 있는 가구 중에는 자산이 있는 집이 많다"면서 "저소득층의 경우 부채 비율이 높지만, 규모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라고 했다.

인사 때마다 거듭된 잡음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김 총재는 '인사철마다 불만의 목소리가 들려온다'고 지적하자 "자꾸 뒤로 돌아가려 하면 어쩌자는 것이냐"면서 "직원들이 (한은 외부에서 온 총재를)낯설어하지만, 그렇다고 움직이지 않을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되물었다. 그는 이어 "개혁은 항상 현상을 변화시키는 것이고, 변화가 오면 불편해지는 사람들이 생긴다"면서 "(기존의 체계에서)잘된 사람, 기득권을 가진 소수들이 변화를 불편해하며 불평하는 것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김 총재는 지난 6일 임기 만료로 한은을 떠난 이주열 전 부총재를 염두에 둔 듯 "한은은 대한민국의 조직이지, 30년 근무했다고 '내 조직'이 아니다"라는 말을 덧붙이기도 했다. 이 전 부총재는 한은을 떠나며 김 총재의 조직 운용 방식을 매섭게 비판했다. 특히 통화정책을 두고는 "물가안정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는 사실상의 고해성사를 남겨 김 총재를 난처하게 만들었다.


중앙은행 최대의 임무인 '물가관리'에 실패했다는 비판, 이른바 '기준금리 인상 실기 논란'에도 김 총재는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외곬으로 물가안정만 외치는 게 좋은 것이냐"며 "물가안정도 성장률을 높이는 차원에서 가야 한다"고 했다. 김 총재는 더불어 "기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려면(금리정책을 쓰려면), 6개월이나 1년 뒤를 봐야지, 지금의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정책을 쓰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한은이 낙관론을 펴다 경기 전망에 실패했다는 지적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은은 지난해 12월 3.7%로 예상했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이달 3.5%로 낮췄다. 시장에선 당초부터 무리한 전망치를 제시한 것이라며, 김 총재의 낙관론이 괜한 혼란만 키웠다는 비판도 있었다.


김 총재는 그러나 "성장률 전망치 0.2%포인트를 낮춘 걸 두고 '굉장히 크게 낮췄다'고 표현하긴 어렵다"며 "(거시경제 전망을 전문적으로 하는)국제통화기금(IMF)도 지난해 9월부터 올해 4월까지 네 번 전망치를 발표하며 세 번이나 숫자를 수정했는데, 세상이 변해도 가만히 있으면 전망을 잘했다고 보는 건지, 오히려 이러면 직무유기라고 해야 하는 게 아니냐"고 되물었다.




박연미 기자 chang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