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선가 하락’ 여파···조선사 지난해 영업익 하락

시계아이콘01분 3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주요 조선업체들이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추락한 신조 선가의 부담을 떨쳐내지 못하고 지난해 두 자리수 이상 영업이익이 하락했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2011년 별도 기준 경영실적 집계 결과 매출액 25조196억원, 영업익 2조6128억원, 당기순익 1조 9459억원을 기록했다. 2010년 대비 매출은 11.7% 증가했으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6.7%, 31.4% 하락했다.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10.4%로 두 자리수대를 유지했으나 전년도 15.9%에 비하면 5.5%p나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4·4분기에는 매출 6조7511억원, 영업익 4046억원, 당기순익 713억원으로 각각 전 분기 대비 매출만 14.3% 증가했을 뿐 영업이익은 24.8%, 순이익은 713억원으로 83.5% 급락했다.


삼성중공업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삼성중공업의 지난해 2011년 경영실적(별도 기준)은 매출은 전년 대비 2.2% 증가한 13조3586억원, 영업이익은 20.0% 감소한 1조1017억원, 당기순이익은 11.5% 줄어든 8639억원을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영업이익률은 8.2%로 2010년 10.5%에 비해 2.3%p 줄어 두자릿수 이익률 달성이 좌절됐다.

아직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대우조선해양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STX조선해양, 현대미포조선 등도 저조한 실적이 예상된다.


글로벌 조선업계 1~3위를 달리고 있는 빅3들이 일제히 수익성이 악화된 것은 하반기부터 지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추락한 선가를 바탕으로 수주한 물량이 본격적인 건조에 투입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벌커 등 범용선박은 물론 컨테이너선과 초대형 유조선(VLCC) 등 고가 선박조차 거의 절반에 가깝게 가격이 떨어진데다가 발주 물량이 적어 그동안 조선소가 우위를 점했던 신조시장이 선주의 영향력이 강해지는 양상으로 뒤바뀌면서 경쟁이 가열돼 또다시 가격이 떨어지는 상황이 되풀이 됐다.


2010년 하반기부터 신조 시장이 회복 기미를 보이는 듯 했으나 지난해 유럽발 금융위기와 더불어 일본의 대지진 및 쓰나미, 미국의 경기 악화 등의 악재가 거듭됐고, 후판 등 건조에 필요한 원재료 가격이 오르면서 시황은 다시 악화 추세로 돌아섰다. 이로 인해 기 발주한 선박을 취소하거나 인도를 연기하면서 조선사들의 추가 비용 부담이 커졌다.


실제로 양사의 분기별 영업이익률을 살펴보면,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1분기 15.6%에서 2분기 11.2%였다 3분기에는 9.1%로 떨어지더니 4분기에는 6.0%로 반토막이 났다.


삼성중공업도 1분기 10.8% → 2분기 10.3% → 3분기 6.3% → 4분기 5.5%로 시간이 갈수록 수익이 떨어졌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조선·해양 부문의 건조물량 및 대형엔진 인도물량 증가에 따라 매출이 늘어난 반면, 조선 부문에서 고가 수주물량 비중이 감소하고 전기전자 등 비조선부문의 수익성이 하락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중공업측도 “지난 2009년 이후 수주한 저선가 물량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건조되는 등 하반기부터 매출에 반영됨에 따라 영업익이 감소했다”고 전했다.


한편, 파업 등 노사 갈등을 겪으며 수주를 전혀 올리지 못하는 등 지난해 사실상 기업 활동을 중단했던 한진중공업도 영업이익과 매출액 모두 두 자리 수 이상 급락했다.


한진중공업은 지난해 매출액 전년 대비 15.3% 줄어든 2조3160억원, 영업이익은 41.6% 급락한 595억원, 당기순손실은 7688억원 늘어난 1163억원을 기록했다.


조선사업 부문의 핵심 사업장인 부산 영도조선소의 조업 물량이 지난해 상반기 완전히 바닥이 났고, 연말에 갈등이 봉합됐으나 일감이 없어 매출을 전혀 내지 못하고 있다.


각 조선사들은 올해 강화된 현금 흐름 관리 시스템을 통해 저가 수주로 인한 수익을 보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여전히 시황은 불투명한 상태라 관리 경영이 어느 정도까지 수익 악화를 막아줄지에 대해서는 뚜렷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채명석 기자 oricms@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