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정일 운구차, 30년된 구닥다리인 까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김정일 운구차, 30년된 구닥다리인 까닭 김정일 국방위원장 운구차량인 링컨 컨티넨탈.
AD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2011년 12월 28일 열린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장례식에는 이색 차량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김위원장의 운구차량인 포드 링컨 컨티넨탈이었다. 요즘 자동차 디자인의 추세인 곡선이 아닌 곳곳에 각이 진 사각형을 연상시키는 모델이었다. 이 차는 1970년대 중반 제작돼 차령이 30년 이상 된 구형 차량이다.


김 위원장의 운구차로 링컨 컨티넨탈이 선택된 것은 다소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생전에 독일 벤츠의 열렬한 팬이었던 데다 등장했던 링컨 컨티넨탈이 소위 '구닥다리' 모델이었기 때문이다. 또 링컨의 제작사인 포드가 적대국인 미국 회사라는 점에서도 궁금증은 커졌다. 21세기 공식행사에 나타난 1970년대 차량은 뭔가 어색해 보였다.

북한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선대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낸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 차량은 지난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 당시에 운구차로 이용됐던 것과 같은 모델이다. 김 주석과의 연계를 통해 죽어서도 예와 효를 다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는 것이다.


김연수 국방대학교 교수는 "북한은 단순한 사회주의 국가가 아닌 김씨 왕조 국가"라면서 "이 패러다임에서는 선대 수령과의 연계를 갖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다시 말해 선대가 행했던 방식을 고스란히 재현하는 게 후계자의 덕이라는 인식 때문이라는 것이다.


김 교수는 "과거 방식을 답습함으로써 유훈을 받든다는 의미가 담겨 있는 것"이라면서 "북한 체제가 급변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해외 언론은 링컨 컨티넨탈의 뛰어난 내구성에 미뤄 김 주석 장례식때 이용됐던 차량일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차량 보존 상태가 훌륭하다는 것인데, 김일성 사후 그만큼 관리를 철저히 했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한 전문가는 "김 위원장 운구차는 영구 보존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한편 운구차 뒤로는 김위원장이 생전에 좋아했던 벤츠 차량이 줄줄이 지나갔다. 벤츠는 비교적 신형 모델이어서 북한이 링컨 컨티넨탈을 고집한 이유를 뒷받침했다.




최일권 기자 igcho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