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리나라 무선인터넷 이용률 60% 넘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스마트폰의 대중화로 국내 무선인터넷 이용률이 6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서종렬)은 22일 '2011년 무선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대중화로 무선인터넷 진입 장벽이 낮아져 국내 무선인터넷 이용자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올해 9월 현재 만 12세에서 59세 국민의 무선인터넷 이용률(최근 1년 이내 무선단말기로 이동통신망, 무선랜, 와이브로 등의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비율)은 65.2%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5.9%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남성과 여성의 무선인터넷 이용률은 각각 67.0%와 63.3%이며 연령별로는 20대의 이용률이 94.1%로 가장 높았고 이어 10대(85.2%), 30대(78.2%), 40대(53.0%) 순이었다.

이 같은 수치는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 KISA 측의 설명이다. 현재 국민 10명 중 4명(39.2%)이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국내에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2009년(2.6%) 이후 불과 2년 만에 약 15배(36.6% 포인트)가 증가한 결과다. 또한 스마트패드 이용자도 지난해 1.2%에서 올해 3.1%로 증가했다. 특히 스마트폰을 통해 무선인터넷에 접속하는 이용자는 지난해(13.8%) 대비 4배 이상 증가한 60.1%로 조사됐다.


또한 무선인터넷 이용시간은 1주일 평균 11.2시간으로 나타났으며 가정(76.2%)이나 이동 중인 교통수단(71.7%)에서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용목적으로는 자료 및 정보습득(71.4%)과 음악(70.1%)이 많았다. 뉴스(57.6%), 메신저(56.1%), 소셜네트워크서비스(45.0%)를 이용하는 경우도 40% 이상이었다.

모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률은 27.9%(이동전화 이용자의 28.1%)이며 주 1회 이상 본인의 게시물을 작성하거나 타인의 게시물을 공유하는 경우는 각각 43.8%와 39.8%로 나타났다. 또 스마트기기 이용자의 과반수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면서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 활동(60.6%) 및 정보 공유 활동(56.9%), 소셜네트워크서비스나 메신저 이용(53.4%)이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한편 KISA에 따르면 무선인터넷 이용자의 과반수(51.6%)가 무선인터넷을 이용하면서 유선인터넷 이용시간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무선인터넷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 악성코드 감염 등의 보안문제를 걱정하고 있는 사용자는 47.0%로 나타났지만 실제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이들은 33.6%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서종렬 KISA 원장은 "스마트기기의 보급으로 일반 국민들의 무선인터넷 접근성이 향상, 국내 무선인터넷 이용자의 양적 증가세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무선인터넷 이용환경 고도화 및 신규 스마트산업 개발·지원 등을 통해 우리나라가 무선인터넷 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