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영일만 빠져죽자…치열한 '태준이즘' 앞에 옷깃 여미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2분 37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강철의 삶을 산 박태준 명예회장 타계
-포스코 주식 1株도 갖지 않은 '청정 경영'

-포스코 연산 3700t 규모 조강생산, 세계 4위 철강사로 일군 한국 철강업 '큰 별'
-'짧은 인생을 영원 조국에' 좌우명·비리근절 경영 철학, 집 팔아 사회 환원도


우리나라 최초의 일관제철소를 건설한 '철의 사나이'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전 국무총리)이 13일 84세의 일기로 타계했다.

박 명예회장은 13일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10년 전 수술했던 흉막섬유종 후유증으로 흉막 전폐절제술을 받고 입원 가료 중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했다.


그는 1960년대 철강불모의 이 땅에 최초의 일관제철소를 성공적으로 건설하고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철강사로 성장시킨 한국 철강산업의 큰 별이다.

소위 철강왕이라 칭송받는 미국의 카네기는 당대 35년 동안 연산 조강 1000만t을 이뤘지만, 박 명예회장은 당대 25년(1968~1992년) 안에 연산 조강 2100만t을 이뤘다. 기술력과 자본력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카네기보다 짧은 기간에 그 2배가 넘는 규모로 키워낸 것이다.


현재 포스코는 연산 3700만t 규모의 조강생산을 기록하는 세계 4위권의 철강사로 성장했으며 최근 철강경기 하락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철강사를 제치고 시가총액과 신용등급에서 모두 수위를 기록하고 있다.


포스코가 현재와 같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은 1960~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지와 국민들의 성원에 힘입은 바 크지만 박태준이라는 걸출한 리더의 헌신적인 리더십이 보태지지 않았으면 불가능한 일로 평가받고 있다.


1978년 중국의 최고 실력자 덩샤오핑은 일본의 기미츠제철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이나야마 요시히로(稻山嘉寬) 당시 신일철 회장에게 “중국에도 포항제철과 같은 제철소를 지어달라”고 했다가 “중국에는 박태준이 없지 않느냐”라는 대답을 들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박태준 명예회장";$txt="▲박태준 명예회장, 군 시절의 모습";$size="550,433,0";$no="2011121406321358198_3.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1927년 동래군 장안면에서 태어난 박 명예회장은 일본에서 성장해 1945년 와세다 대학 기계공학과에 입학하였으나, 해방으로 학업을 중단한 후 귀국해 1948년 육군사관학교를 6기로 졸업했다.


이때 교수로 재직 중이던 박정희 대통령을 만나 인연을 쌓았고 훗날 이땅에 최초의 일관제철소 건설의 큰 꿈을 잉태하게 된다.


1963년 육군소장으로 예편한 후 경제인으로 변신, 1964년 대한중석 사장으로 임명되어 1년 만에 대한중석을 흑자기업으로 바꿨고, 그의 탁월한 경영능력을 높게 평가한 박정희 대통령으로부터 종합제철소 건설의 특명을 받게 된다.


이때부터 박 명예회장은 제철소 건설과정에서 고비 고비마다 난관을 특유의 결단력과 열정으로 극복하면서 세계가 부러워하는 철강신화를 일궈낸다. 제철소 건설과정의 수많은 에피소드들은 박 명예회장의 진면목을 여실히 보여준다.


1967년 어렵사리 일관제철소 건설 지원을 위해 조직된 국제차관단이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의 부정적인 전망으로 와해되자 일본의 유력인사들을 일일이 설득해 대일청구권자금을 전용하도록 함으로써 피지 못할 수도 있었던 일관제철소 건설의 꿈을 만개시킨다.


이와 함께 포스코의 DNA와도 같은 '제철보국'과 '우향우 정신'은 박 명예회장이 건설초기 철강역군들을 하나로 만드는 공동의 좌우명이 됐다. 이 땅에 일관제철소를 건설해 경쟁력 있는 산업의 쌀을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조국의 은혜에 보답하자는 '제철보국'은 포스코의 설립 근거다. 또한 '우향우 정신'은 선조의 핏값인 대일청구권 자금으로 건설하는 일관제철소를 반드시 성공시켜야 하며, 성공하지 못할 경우에는 제철소 건설부지에서 우향우해서 영일만에 몸을 던지자는 단호한 의지를 표현한 것이다.


박 명예회장은 공기업 체제에 따르는 비효율과 부실의 여지를 막기 위해 조직의 자율과 책임문화 정립에 특히 중점을 뒀으며 이러한 책임의식은 자연스럽게 완벽주의로 연결됐다.


1977년 3기 설비가 공기지연으로 고전하고 있을 때에도 발전 송풍 설비 구조물 공사에서 부실이 발견되자 80% 정도 진행된 상태였지만 부실공사를 절대 허용하지 않겠다며 모두 폭파한 일은 완벽주의의 의지를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다.


목욕론도 박 명예회장의 일면을 이해하는 재미있는 에피소드다. 박 명예회장은 “깨끗한 몸을 유지하는 사람은 정리, 정돈, 청소의 습성이 생겨서 안전·예방의식이 높아지고 최고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며 청결한 주변관리를 주문했다. 이 때문에 제철소 건설초기부터 현장에 샤워시설을 완비했다.


또한 1983년 광양제철소 호안공사 시공 때에는 감사팀 직원들에게 스쿠버 장비를 갖추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바닷속에서13.6㎞ 호안의 돌을 일일이 확인해 불량시공을 점검하기도 했다.


철저한 비리근절도 박 명예회장이 한결같이 지향했던 경영철학이다.
1970년대는 설비공급사나 정치권에서 각종 납품 비리나 청탁 압력이 극에 달했던 시기로 이에 박 명예회장은 정치권의 압력 배제와 함께 설비 공급업자 선정의 재량권 인수 등을 골자로 하는 내용을 메모에 적어 박정희 대통령에게 건의했다. 소위 '종이마패'로 불리운 이 메모는 외부압력을 차단하고 비리를 근절하는 상징처럼 전해져 온다.


한국이 군대를 필요로 했을 때 장교로 투신하고, 한국이 현대경제를 위해 기업인을 찾았을 때 기업인이 되고, 한국이 미래의 비전을 필요로 할 때 정치인이 돼, 한국에 봉사하고 봉사하는 삶이 끊임없는 지상명령이었다고 평가한 미테랑 전 프랑스 대통령의 말처럼 평생을 한결같이 조국 발전에 헌신했던 박 명예회장은 32대 국무총리를 맡기도 했다.


이와 함께 박 명예회장은 일찍부터 연구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해 1986년 포항공대(포스텍)를, 1987년에는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을 설립함으로써 포스코-포항공대-포항산업과학연구원 등 3개를 축으로 하는 산학연 연구개발 체제를 구축했다.


이는 국내 최초의 산학연 연구개발 체제로, 산업계 전반에 걸쳐 새로운 기술개발 모델을 제시했다.


'짧은 인생을 영원 조국에'라는 좌우명을 일평생 지켜온 박태준 명예회장. 1960년대 제철소 건설 초기부터 최근 명예회장으로 재직할 때도 단 한 주의 주식도 보유하지 않고 청정한 삶을 보여줬다.


박 명예회장은 국무총리에서 물러난 2000년 40년간 거주하던 아현동 소재 주택을 처분해 사회에 환원하기도 했다. 이 집은 1961년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비서실장으로 있을 때 당시 의장이었던 박 전 대통령으로부터 '특별 하사금'을 받아 매입한 집이었다. 유족으로는 부인과 1남 4녀가 있다.


조슬기나 기자 seul@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조슬기나 기자 seul@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