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日 "글로벌 M&A행 급행열차를 타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엔화 강세 타고 日기업들 M&A 시장 '큰손' 떠올라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 ‘주식회사 일본’이 글로벌 M&A 시장의 ‘큰손’으로 부상했다. 엔화 강세를 업고 일본 기업들이 포화상태에 이른 국내시장을 떠나 해외 성장동력 찾기에 앞다퉈 뛰어들면서 일본은 올해 미국과 영국에 이어 세계 3위의 해외기업 인수합병(M&A) 실적을 올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3일 시장리서치업체 딜로직 자료를 인용해 올해 일본 기업들의 해외 M&A 자산가치 규모가 총 797억달러로 역대 최고기록을 냈다고 전했다. 이는 미국 1866억달러, 영국 839억5000만달러에 이어 세 번째다. 지난해 343억달러로 10위에 그쳤던 일본은 올해 495억달러의 중국을 제치고 단번에 순위가 뛰었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일본 기업들은 자본지출을 되도록 줄이면서 상당한 규모의 현금자산을 축적해 왔다. 올해 들어 미국 경제성장세 둔화와 유로존 부채위기로 서방 경쟁기업들의 힘이 약화됐지만 일본 기업들의 구매력은 어느 때보다도 커졌다. 안전자산으로 부각된 엔화 가치가 역대 최고로 오르자 일본 정부가 해외 자산인수를 적극 장려하기 시작했고 일본 은행권도 적극적으로 대출지원에 나섰기 때문이다.


글로벌 M&A시장 관계자들은 특히 소비재·제약 분야를 중심으로 내년에도 일본 기업들의 ‘빅딜’이 줄을 이을 것이며, 특히 유로존 위기로 흔들리는 유럽 기업들을 인수하는 경우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M&A 급증은 일본 기업들이 엔고를 극복하기 위해 그만큼 사활을 걸고 있음을 단적으로 드러내 준다고 WSJ는 설명했다. 짐보 유이치 씨티그룹재팬 투자은행부문 대표는 “일본이 M&A시장의 유력국가로 떠오른 것에는 일본 기업계가 해외 M&A 협상에 경험이 쌓이면서 의사결정 구조가 예전과 달리 신속해지는 등 변화하고 있는 것도 큰 이유”라고 말했다.




김영식 기자 gr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