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효과적인 신용관리 방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대출 줄이고 연체 피해야

[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떨어지기는 쉽지만 다시 올리기는 어려운 신용등급,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예전에는 카드를 발급 받거나 대출을 신청할 때 금융회사를 통해 신용등급을 조회하면 등급이 내려가는 등 좋지 않은 영향을 줬다. 하지만 지난 4월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서민금융 기반 강화 종합대책'에 따라 지난달부터는 신용평가 시 신용조회 기록 정보를 반영하지 않는다.

10만원 미만 소액 연체 정보도 신용평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90일 미만 단기 연체 정보는 채무 상환 이후 3년간만 신용평가에 반영한다. 기존에는 단기 연체 정보도 5년간 반영했다.


이와 함께 대출금 상환 및 건강보험·국민연금·전기요금 납부 정보 등 금융회사나 공공기관이 보유 중인 우량 정보도 신용평가에 반영한다.

신용회복위원회나 자산관리공사(캠코)를 통해 개인 워크아웃이 진행 중인 경우에도 채무 납입 회차나 대출 상환 및 완제 정보를 신용평가 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처럼 달라진 체계 하에서 효과적으로 신용등급을 관리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신용등급 체계가 달라져도 신용관리 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다. 적절한 대출을 유지하고 무엇보다 연체를 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


금융감독원은 20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효과적인 신용관리 방법'을 안내했다. 우선 신용도가 낮은 7~10등급의 경우 대출금을 먼저 갚고 카드 사용액을 줄여야 한다. 신규 대출을 자제해야 하는 건 물론이다. 이미 낮은 신용도로 인해 제1금융권에서 새로 대출을 받는 게 어려워 제2금융권 등에서 고금리 대출을 받을 경우 늘어난 이자와 빚을 감당하지 못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되기 때문이다.


5~6등급의 경우 자신의 소득 수준에 맞게 채무를 관리해야 한다. 5~6등급도 새희망홀씨대출 등 서민금융상품 외엔 은행권 신용대출을 받기 어렵다. 그렇다고 2금융권 대출을 이용하면 매월 비싼 이자를 줘야 해 목돈 마련은 먼 일이 되고 만다. 따라서 꼭 필요한 긴급자금이 아니면 대출이나 카드 사용은 줄여야 한다. 신용카드 현금서비스나 리볼빙도 대출로 잡히므로 무분별한 사용은 피하고 필요 없는 카드는 해지하는 게 좋다.


1~4등급은 주거래 은행을 만들어 우량 거래를 지속한다면 높은 신용등급을 유지할 수 있다. 급여이체 계좌를 만든 은행을 통해 예·적금 상품에 가입하고 신용카드를 연체하지 않고 오래 쓰면 신용등급이 올라가고 수수료 및 금리 우대 혜택도 받을 수 있다. 단 신용등급이 높아질수록 카드 사용한도 증액이나 우량 대출 권유를 받을 수 있으나 불필요한 대출 등으로 빚이 늘어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이외에도 대출금뿐 아니라 통신료·공과금·세금 체납 정보도 신용정보에 반영되기 때문에 연체되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




박민규 기자 yushi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