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내곡동 문제로 골치 아픈 검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아시아경제 정준영 기자]검찰이 '내곡동 사저 비리 의혹' 수사에 착수함에 따라 수사결과에 관심이 모아지는 가운데, 사실상 'MB의 사람들'로 꾸려진 것으로 평가받는 현 사정라인이 온전한 수사결과를 내놓을지에 대한 우려가 뒤따르고 있다. 결과가 시원찮으면 여론의 뭇매를 맞을 게 뻔한 상황이어서 검찰도 적잖이 난처한 눈치다. 골치아픈 사건이 예고도 없이 갑자기 굴러들어온 셈이다.


20일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백방준 부장검사)는 민주당이 이명박 대통령의 서울 내곡동 사저 논란과 관련해 임태희 대통령실장, 이 대통령 아들 시형(33)씨 등 5명을 배임과 부동산실명제법 위반 혐의로 고발한 사건을 배당받아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현재 법무ㆍ검찰 지휘계통에는 BBK사건 수사가 한창이던 2007년 당시 대검찰청 차장검사였던 권재진 법무부장관을 비롯해 'MB 라인업'이 공고하게 구축돼 있다. 당시 사건 수사를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로 진두지휘했던 최재경 검사장은 대검 수사기획관, 서울중앙지검 3차장 등을 거쳐 현재 대검 중앙수사부장을 맡고 있다.


내곡동 사건 수사를 총지휘하는 최교일 서울중앙지검장은 현 정권의 대표적 시국사건인 MBC PD수첩 광우병 왜곡보도 의혹 사건 수사 당시 1차장으로 일하며 수사를 총괄했다. 한상대 검찰총장 또한 청와대가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민감한 사건들을 컨트롤해 왔다.

검찰은 "제기된 의혹을 다른 사건과 마찬가지로 철저히 수사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검찰 바깥에서는 이런 말을 그대로 믿긴 어렵다는 지적이 흘러나온다. 법조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대한민국 사정라인은 정권 보호라는 일종의 목적에 의해 구축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또 "검찰이 이번 사안을 두고 여러가지 정치적 계산을 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여론의 동향에도 적잖이 신경이 쓰일 것"이라고 전했다.




정준영 기자 foxfur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