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MB 내곡동 사저 논란이 놓친 것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퇴임 후 거주하게 될 내곡동 사저와 경호시설에 대한 위법 논란이 뜨겁다. 야당은 야당대로, 청와대와 여당은 여당대로 나름의 논리로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부동산 실명제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 위반 의혹은 앞으로 명명백백하게 밝혀져야 할 대목이다. 청와대도 야당의 의혹에 충분히 해명하고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 더 이상 사저를 둘러싼 정치공방이 확전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하지만 정작 씁쓸한 것은 퇴임 후 거주할 사저에 대한 청와대의 인식이다. 사저는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이지만 국가원수를 지냈다면 다르다. 이 대통령이 퇴임 후의 삶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상도동',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은 우리나라 현대사에서 민주화운동의 굴곡진 애환이 있는 곳이다. '상도동'과 '동교동'은 지명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두 정치인을 상징하는 고유명사이기도 하다.

상도동은 김영삼 전 대통령이 1965년 처음 입주했던 곳으로 군사정부로부터 가택연금을 당했던 곳이다. 또 23일간 목숨을 건 단식을 했던 이 사저는 향후 사회에 환원될 예정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퇴임 이후 여생을 보낼 장소로 동교동을 선택했다. 그가 미국 망명길에서 돌아온 1985년 군사정부에 의해 감옥과 같았던 가택연금 생활을 한 것도 동교동에서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내가 고향에 돌아가 사는 것은 지역주의를 극복하고 국민 통합을 이루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균형발전을 임기 내내 강조해왔던 그의 평소 소신과 철학이 반영된 선택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는 충분한 설명이 필요해 보인다. 청와대는 대통령이 소유한 논현동 사저 주변 토지 매입이 워낙 비싸서라고 했다. 또 대통령의 실명으로 매입할 경우 호가가 우려돼 시형씨가 대출을 받아 구매했다고 했다. 국민들은 이런 청와대의 해명에 더 분통을 터뜨리는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에게 내곡동 사저는 어떤 철학적 역사적 함의가 있는가? 국민들이 청와대로부터 듣고 싶은 대답은 이것이다.  




김달중 기자 da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