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BIFF 2011│곽경택 감독 “영화제 기간에는 집행위원장 만큼이나 힘들어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BIFF 2011│곽경택 감독 “영화제 기간에는 집행위원장 만큼이나 힘들어요”
AD


비단 올해로 16회를 맞는 부산국제영화제(이하 BIFF) 때문만이 아니더라도, 부산이 명실상부한 영화의 도시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것은 이 특별한 도시를 방문하는 사람들의 강렬하고도 즐거운 추억의 합집합 덕분일 것이다. 성큼 다가와 버린 가을과 함께 서둘러 막을 올릴 채비 중인 BIFF를 기다리며 <10 아시아>와 다음이 배우, 뮤지션, 감독, 아이돌 등 다양한 스타들로부터 ‘부산의 추억’을 들었다.

부산과 영화를 말할 때 빼놓지 말아야할 사람이 있다면 분명 곽경택 감독도 포함될 것이다. <친구>로는 부산 사나이들의 거친 세계를, <사랑>으로는 부산 남자가 사랑하는 법을 보여준 그의 영화에서 부산의 바다 내음이나 뒷골목의 그늘을 지우기란 쉽지 않다. 물론 최근작 <통증>은 서울에서 사투리를 쓰지 않는 남자와 여자의 가슴 아픈 멜로라는 점에서 곽경택 감독의 영화들과 언뜻 이질적이지만 그 감정의 파도는 여전히 묵직하게 밀려온다. 무뚝뚝하지만 속은 진득한 경상도 사나이 같은 영화들을 만들어 온 곽경택 감독이 나고 자란 부산과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추억을 들려주었다.


곽경택 감독이 추천하는 먹거리
“부산에 가면 저도 먹으러 다니죠. (웃음) 밀면 집을 꼭 빼놓지 않는데 마약 같아요. 선지국밥을 되게 맛있게 하는 부산집이라는 가게도 있는데 거기도 꼭 가요. 또 뭐니뭐니 해도 부산에서 먹을 게 가장 많은 데는 남포동 먹자골목이죠. 호떡이랑 오뎅, 그리고 서울은 떡오뎅(떡을 어묵처럼 꼬치에 끼운 것)이 없는데 부산에선 술 한 잔 먹고 떡오뎅을 먹기도 합니다.”

곽경택 감독이 추천하는 볼거리
“태종대는 어릴 적부터 추억이 있는 곳이에요. 매일 아침 아버지랑 산책하러 다녔죠. 거기서 사람 죽는 것도 보고, 누가 선물로 준 다람쥐도 풀어주고. 또 아버지가 멀쩡하게 자라고 있는 소나무에 제 이름을 붙여주기도 하셨어요. 저랑 아무 관계도 없는데. (웃음) 거기서 영화도 찍었고, 저한테는 잊을 수 없는 장소입니다.”


곽경택 감독이 말하는 BIFF
“BIFF에 관한 추억은 매번 많아요. 제가 부산 사람이니까 국내외에서 BIFF 때는 저한테 오면 모든 게 해결된다고 생각하더라구요. 그래서 영화제 기간에는 거의 집행위원장님 만큼이나 힘들어서 어쩔 땐 도망가고 싶어요. (웃음) 이번에는 영화 <적> 준비를 ‘뻑세게’ 해야 해서 영화제 기간에 부산에 갈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돈도 너무 많이 들고. (웃음)”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10 아시아 글. 이지혜 seven@
10 아시아 사진. 이진혁 eleve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