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세 살까? 차라리 집을 살까?

시계아이콘00분 5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집값 상승 기대심리 없어..전세수요 매매로 전환되는데 한계"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전세 살까? 차라리 집을 살까?'


계속되는 전세난에 실수요자들의 고민이 깊다. 좀처럼 수그러들지 모르는 전셋값이 급기야 집값의 절반 이상 수준으로까지 올랐다. 전세를 계속 살기에는 가격 부담이 크고, 그렇다고 집을 사자니 집값 하락에 대한 불안을 떨칠 수도 없는 상황이다.

흔히들 시장에서는 전세가율이 집값의 60%까지 올랐을 때 전세수요가 매매수요로 전환된다고 본다. 현재 국민은행 통계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50.1%로 지난 2006년 이후 최고치다. 이미 지방에서는 70%를 넘은 지역도 상당수다.


또 입주물량 부족과 재건축·재개발 이주수요 등으로 올 가을철 전세대란이 예고된 만큼 이참에 내집마련을 고심하는 수요자들도 늘 수밖에 없다. 김은진 부동산1번지 팀장은 "이미 강북이나 수도권 외곽지역의 중소형 아파트의 경우는 전세와 매매가 가격차이가 별로 크지 않기 때문에 매매로 돌아선 수요자들도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처럼 전세수요가 매매로 전환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근본적으로 지금의 시장 분위기는 아파트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한 풀 꺾인 상태인데다 정책 발표, 금융시장 불안 등 대내외적 변수도 많기 때문이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실장은 "'선 전세 후 매매'라는 가격공식이 요즘은 통하지 않는다"라며 "전세가율이 높다는 얘기는 담보대출을 통해 전세를 끼고 내집마련이 쉽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현재 집값 상승률이 정체돼 있어 전세수요를 기대만큼 끌어오지 못하고 있다. 공격적으로 내집마련을 하려는 수요자들이 많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의 미국 및 유럽의 재정위기도 국내에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매수심리에 악영향을 미쳤다. 김인만 굿멤버스 대표는 "하반기 전세가격 상승은 불가피한 상황인데 여기에 경기침체 공포로 투자심리가 더 위축되면서 그나마 매매를 하려던 수요자들까지 전세수요로 돌아설 경우 불 난 집에 기름 뿌리는 상황이 될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조민서 기자 summe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