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동국제강-포스코, 브라질 고로 건설 본격화

11일 제철소 전용 부두·원료 컨베이어벨트 가동식
부지 본공사 개시, 동국·발레·포스코 3사 첫 공식 행사
장세주 회장 10년 집념 결실 “한-브 연결 철강 벨트 구축”



";$size="550,387,0";$no="2011081116055922462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동국제강포스코, 브라질 발레와 합작해 추진 중인 브라질 고로 제철소 건설 프로젝트가 본궤도에 올랐다.


장세주 동국제강 회장은 11일(현지시간) 브라질 세아라주 뻬셍 산업단지에서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 박기홍 포스코 전무, 무릴로 페헤이라 발레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단지 전용 다목적 부두 준공식 ▲원료 컨베이어벨트 가동식을 갖고, 지우마 대통령에게 그동안 진행해온 고로 제철소 부지 정지공사에 대한 현황 보고식을 가졌다.

이번 행사는 발레, 동국제강, 포스코가 함께 참여하여 본격적인 고로 제철소 건설을 알리는 브라질 세아라 주정부의 첫 공식 행사다.


동국제강과 발레 2개사는 현지 합작사인 CSP를 통해 주정부와 함께 제철소 부지를 조성하고 항만시설 확장과 원료 컨베이어벨트 건설을 해왔으며, 최근 포스코가 참여해 3개사 합작 구성을 완료했다.


3사는 CSP를 통해 1단계로 연산 300만t 규모의 고로 제철소를 2015년초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중이며, 2단계에서 300만t급 고로를 추가 건설할 계획이다.



지우마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 “뻬셍 산업단지에 건설되는 고로 제철소는 브라질 북동부 지역 발전의 교두보가 될 것이며, 연방정부는 고로 제철소가 가동될 때까지 전폭적인 지원을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브라질 프로젝트를 주도해온 장 회장은 “브라질에서 고로제철소를 건설하기 위해 10년 동안 공을 드렸다”며 “CSP 제철소는 세계 최대 철광석 기업인 발레와 세계 최고의 철강기술경쟁력을 지닌 포스코가 참여하는 프로젝트이므로 2015년에는 가장 경쟁력 있는 고로제철소가 탄생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 회장은 “동국제강과 포스코는 한국의 철강산업을 일으켰던 기적의 역사를 거울삼아 반드시 한국과 브라질을 잇는 꿈의 철강벨트를 만들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무릴로 회장은 “세아라의 지역 발전과 철광석 수요산업인 철강산업의 성장을 도모하겠다”며, “CSP에 최고 품질의 철광석을 공급하는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전무는 정준양 회장을 대신해 “CSP는 세계 최대 철광석 공급업체인 발레와 오랫동안 사업을 추진해온 세계 최대 슬래브 수요업체중 하나인 동국제강, 기술과 조업에서 세계 최고 수준인 포스코가 함께 만들어 가는 가장 이상적인 합작 모델” 이라며 “포스코가 40여년간 일구어 온 경험과 기술로 CSP를 최고의 제철소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3개사가 세아라주에서 건설하는 고로 제철소는 한국의 대표적인 철강기업 2개사가 합작으로 참여해 해외에 건설되는 그린필드 방식으로는 첫 사례가 된다.


특히 이 고로 제철소는 철광석 공급은 발레가, 제철소의 건설과 기술지원은 포스코, 최종제품인 슬래브의 수요는 동국제강이 흡수하는 형태여서 원료에서부터 판매에 이르기까지 합작 3사가 모두 해결하는 최초의 철강기업 형태를 채택해 세계 철강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동국제강은 브라질에서 건설하는 고로 제철소를 완공하게 되면 오랜 숙원사업인 상공정 진출을 통해 고급 후판용 철강 반제품인 슬라브를 우선 공급 받게돼 경쟁력이 한층 올라가게 된다.


한편 지우마 대통령은 이날 완공된 뻬셍 항만 다목적 부두의 이름을 ‘까이스 송원’(Cais Song-Won)이라고 명명했다. ‘송원 부두’라는 의미로 송원은 장 회장의 아버지이자 동국제강 근대화를 이뤄낸 고 장상태 회장의 호다.


‘송원 부두’는 브라질 내에서 한국 이름으로 지역 명이 지정된 첫 사례로 기록됐다.


채명석 기자 oricms@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채명석 기자 oricms@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