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와 그제 이틀간 서울ㆍ경기ㆍ강원 등 중부 지방에 500㎜에 이르는 폭우가 쏟아졌다. 산사태 등으로 전국에서 41명이 숨지고 12명이 실종됐다. 주택과 농경지가 침수되고 주요 도로와 지하철, 전기 등이 끊겼다. 속수무책이었다. 내일까지 최대 250㎜가 더 쏟아진다고 한다.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폭우가 집중된 서울에서는 우면산 산사태로 15명이 숨진 것은 물론 강남과 광화문, 명동 일대가 물에 잠겼다.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등 주요 간선도로가 통제되고 지하철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강원 춘천에서는 소양강 댐 부근에서 발생한 산사태가 펜션을 덮쳐 봉사활동을 나온 대학생 등 13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 폭설, 폭염, 이상저온 등 기상 이변은 이제 다반사가 됐다. 평소에 빈틈이 보이지 않도록 미리미리 대비해야 할 재난이다. 하지만 이번 폭우 사태의 피해 규모를 볼 때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제대로 대응했는지 의문이다. 인재(人災)는 아니었는지 철저히 따져봐야 한다.
서울만 해도 그렇다. 지난해 9월 내린 게릴라성 폭우에 광화문이 물바다가 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그런데 이번엔 도심 침수는 물론 산사태까지 일어나는 등 그때보다 피해가 더 컸다. 서울시의 재해예방 대책에 그만큼 허점이 있었다는 얘기다. '100년 만에 한 번 있을 만한 물폭탄'이라며 하늘 탓으로 돌리고 넘어갈 일이 아니다.
해마다 터지는 산사태도 마찬가지다. 전국의 이름난 산의 기슭이나 계곡, 강변마다 우후죽순으로 주택이나 펜션이 들어서 있다. 인허가 과정에서 안전기준은 제대로 지켰는지,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관리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면적인 실태를 점검해 위험 여부를 진단하고 안전기준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일이 터지고 난 뒤에 허둥지둥해봐야 소용없다. 변화무쌍한 자연의 심술을 예측하기 힘든 건 사실이지만 위험 대비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재해안전기준과 대응시스템을 기후변화에 맞게 바꿔야 한다. 도시계획도 달라져야 한다. 네티즌으로부터 '중계방송하고 있느냐'는 핀잔을 들은 기상청은 예보의 정확성을 한층 높여야 할 것이다. 당장은 피해를 입은 국민을 돌보는 게 급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