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평창 유치까지 이건희 회장의 와신상담 12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7초

이건희 회장, 국민적 성원, 대통령 현장 지원 등이 꿈을 현실로 이뤄내

[아시아경제 박성호 기자]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성공은 유치위원회 관계자들의 헌신적인 활동과 온 국민의 성원과 이명박 대통령의 더반 현지 지원, IOC 위원인 이건희 회장의 글로벌 유치활동이라는 '삼위일체'가 이뤄 낸 쾌거라는 분석이다.


특히 지난 2003년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 결선 투표에서 캐나다 밴쿠버에, 2007년 과테말라에서 열린 IOC 총회 결선 투표에서 러시아 소치에 연속 탈락한 아쉬움을 가진 평창이 지난 4년간 와신상담 유치활동을 펼쳐왔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 크다.

평창 유치까지 이건희 회장의 와신상담 12년 이건희 회장은 작년 2월 밴쿠버 동계올림픽 참석을 시작으로 이번 더반 IOC 총회 참석까지 약 1년 반 동안 모두 11 차례에 거쳐 170일 동안 해외 출장을 다녀 왔다. 해외출장 기간 동안 총 이동거리만 21만㎞에 달하며, 이는 지구를 5바퀴 넘게 돈 거리에 해당한다. 사진은 이 회장이 유치활동 후 귀국장에서 기자들과 질의응답하는 모습.
AD


특히 2003년 전부터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에 공을 들여온 이 회장의 애착은 삼성을 글로벌 기업으로 육성한 열정에 비교될 정도로 대단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여론의 부담을 무릅쓰고 2009년말 이건희 IOC 위원을 특별사면해 글로벌 유치활동에 나서게 한 통큰 결단이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 큰 도움이 됐다.


이 회장은 2003년과 2007년 두 번 연속 결선 투표에서 평창이 연속 탈락했던 안타까움을 잊을 수 없었고 이런 아쉬움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이 회장은 그 동안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꾸준히 스포츠외교 활동을 펼쳐 왔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이 회장의 글로벌 행보는 이미 4년전부터 물밑에서 시작됐지만 본격적인 유치활동은 작년부터 박차를 가했다..


이 회장은 작년 2월 밴쿠버 동계올림픽 참석을 시작으로 이번 더반 IOC 총회 참석까지 약 1년 반 동안 모두 11 차례에 거쳐 170일 동안 해외 출장을 다녀 왔다.


해외출장 기간 동안 총 이동거리만 21만㎞에 달하며, 이는 지구를 5바퀴 넘게 돈 거리에 해당한다.


지난 5월 18일 스위스 로잔 후보도시 테크니컬 브리핑에 참석한 이 회장은 “분위기가 좋다. 만날 사람은 거의 다 만났다”고 언급했다.


또 이 같은 자신감을 바탕으로 테크니컬 브리핑을 마치고 귀국길에는 “이제 더 이상 올라갈 필요가 없다”고 내심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지난 2번의 고배를 마시며 얻은 교훈을 언행으로 철저히 실천했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평창 유치 가능성에 대한 질문이 나오면 ‘분위기’ 정도를 전할 뿐 조심스러운 경계심을 잃지 않도록 유도했다.


“유치 가능성은 아무도 모른다”, “뮌헨과 비슷하다. 조금 더 열심히 하면 가능성이 보인다”, “작년, 재작년에는 유치 가능성이 없었는데 이제는 보이는 것 같다”로 그만의 특유의 화술을 동원했다.


희망을 주면서도 끝까지 경계심을 잃지 않도록 한 것이다.


삼성 관계자는 “이 회장께서는 위기의 승부사 기질이 강하기 때문에 끝까지 위기감을 가지고 목표를 성취하는 스타일”이라며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성공도 이 같은 경영전략이 접목됐기 때문에 4년동안 달려온 마라톤에서 마지막 남은 1m까지도 전력질주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평창 유치 결정 후 “평창을 믿고 지지해 주신 로그 IOC 위원장을 비롯한 여러 IOC 위원들에게 감사 드린다. 뮌헨과 안시의 유치 관계자들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평창이 유치에 성공한 것은 이명박 대통령을 중심으로 정부와 체육계, 국민 모두의 열망이 뭉친 결과"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앞으로 범 국민적으로 평창 동계올림픽을 준비해서 아시아의 동계 스포츠 발전에 기여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잘 준비될 수 있도록 계속 힘을 보태겠다"고 말해 유치에 만족하지 않고 성공적 개최 임무를 완수해 국가적 경제발전에 기여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박성호 기자 vicman1203@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