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심명필 4대강 본부장의 호언장담 "집중호우? 문제없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심명필 4대강 본부장의 호언장담 "집중호우? 문제없다" 심명필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장
AD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1. 경북 구미 양포동 등 1만6000가구와 국가산업4단지 248개 입주업체 중 236개 업체의 생활용수가 지난달 30일부터 뚝 끊겼다. 낙동강 횡단송수관로 파손사고에 따른 결과다. 일각에서는 4대강 사업에 따라 수압이 올라가면서 생긴 문제로 지적한다. 하지만 정부는 100년 빈도 비에 따른 것으로 4대강과는 무관하다며 정밀조사를 통해 원인을 추적해야한다고 밝혔다.


#2. 지난달 25일 오전 4시께 경북 칠곡군 약목면의 옛 왜관철교(호국의 다리·469m)의 2번 교각이 무너졌다. 이에 상판 126m와 다리 위 철골구조물(트러스)이 붕괴됐다. 이 다리는 인도교로 하루 1000여명이 이용해왔다. 다행히 사고는 새벽에 일어나 인명피해는 없었다. 정부는 사고 원인에 대해 정확히 알아봐야한다고 밝혔으나 시민단체 등은 100년 동안 무사한 다리가 갑자기 무너진 것은 4대강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외에도 상주보 제방이 무너지는 등 집중호우에 따른 4대강 사업지 일대 물 관련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심명필 4대강추진본부장은 이에 대해 "큰 문제 없다"고 4일 말했다. 이어 "지엽적 부분적으로 작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으나 큰 문제는 없다"며 "사업을 추진하면서 개선해야할 사항"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심 본부장 이하 4대강사업본부는 4대강살리기 통합 관리 시스템(FIMS)을 통해 4대강 사업 전역에 대해 설명했다. PIMS는 4대강 사업의 추진 현황을 한 곳에서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설치한 장치다. 각 공사현장에 카메라를 통해 사업 추진 상황을 직접 살펴볼 수 있다. 심 본부장은 한강 이포보부터 낙동강 달성보까지 4대강 사업으로 인해 변화된 모습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심 본부장은 '큰 피해가 없다'는 말을 반복했다. 특히 그는 각 사고들에 대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강한 확신을 갖고 이같이 답했다.


다만 "구미지역 단수 사태 등은 원인을 떠나 국민에게 불편을 줬다는 면에서 죄송한 일"이라며 "사태의 원인은 면밀하게 조사해야 답변할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또한 지천 역류현상에 따른 농경지 등에 대한 피해 여부는 "4대강 사업에 따른 문제인지 단순 집중호우에 따른 문제인지도 면밀히 검토해야할 사항"이라고 덧붙였다.


여기에 그는 "유속이 빨라진다면 바닥 등이 쓸려나갈 수 있으며 4대강 사업으로 인한 것이라고 말하기 어렵다"며 "227개 지류 중 반 정도는 하상유지공을 통해 붙들어 놓고 나머지는 쓸려가도 우기가 지나가면 파악하면 된다"고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올해 4대강 사업이 마무리 됨에 따라 2~3년 뒤 4대강 사업에 따른 피해여부에 대한 책임에 대해 "국가사업인 만큼 명확한 책임 규명 후 책임져야 한다면 국가에서 알아서 할 것"이라고 답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